- 전문도서

조경공사에서 근원직경에 따른 운반비 수량산출방법
비공개l2008.08.31l7510
조경공사에서...수목이식을 경우에
운반비, 상, 하차...수량을 구할려고 하는데요..
EX) 근원 25 (R25) 일때..
품명 규격 수량
운반비 8톤트럭 0.142
상,하차비 크레인30톤 0.119
근원 20 (R20) 일때..
품명 규격 수량
운반비 8톤트럭 0.074
상,하차비 크레인30톤 0.131
저렇게 나왔거던요..
근데 제가요..."조경수첩"이란것을 바서..
근원직경에 따른 운반비 수량근거를 밨는데..
저런 수량이 안나오더라고요..
도대체 저 수량은 어떻게 나오는것인지..
또 어떤 수식으로 저리 되는것인지...답변 부탁드려요...ㅠㅠ
- 조경공사에서 근원직경에 따른 운반비 수량산출방법
비공개l2008.08.31당연히 없겠죠! 그런데 운반을 크레인으로 잡았네요! 크레인은 아마도 산출식이 없지싶은데, 따로 계산해야될듯합니다. 아니면 주택공사 같은데서 만든 산출근거 참조해보시던가요. 일단 위에 언급한 내용까지 나오려면 보기에는 간단해보이지만 복잡한 계산과정을 몇번 거쳐야됩니다. 일단 표준품셈책 한권 준비하시고 해야될듯 합니다. 보통 식재는 굴삭기로 하죠. 규격이 크고 상하차의 이동거리가 멀경우는 크레인을 사용하는데... 크레인 산출이 제일 문제네요. 필요한 자료) 1. 표준품셈 식재 파트를 보면 트럭규격과 근원직경에 따른 적재할 수 있는 수목 수량이 나와 있습니다. 2. 품셈책 뒷쪽에 보면 노임비 나와 있습니다. 조경공, 보통인부, 건설기계운전수, 조수, 조장, 운반차 운전수 이렇게 있습니다. 3. 가격정보지들이 있어야됩니다. 이식이니깐 굴취시 새끼, 마대, 고무바 그리고 식재하면 지주목이 있어야겠죠. 그리고 중장비 쓰니깐 기계시공 경비 산출하려면 경유가격 또한 알아야합니다. 가격정보지들에서 그런 품목 가격을 찾아야겠죠! 4. 대한건설협회 홈페이지 기계경비산정 파일! 자료 준비 되었으면 산출 들어가겠습니다. 시간당 기계경비부터 들어가야겠죠! 트럭과 크레인이죠. 경비=(손료)*(중기가격) 재료비={(주연료)*(경유값)}+[{(주연료)*(경유값)}*(잡품퍼센티지)] 노무비={(시간당노무비)*(건설기계운전수)}+{(시간당노무비)*(건설기계조수)}+{(시간당노무비)*(건설기계조장)} 시간당노무비={(노임비단가)*(25/20*1/8*16/12)} 입니다. 이렇게되면 시간당 기계경비는 나오는데 일위대가는 수목 한주당으로 해야됩니다. 그럼 이제 수목 한주당 소요되는 시간을 알아야겠죠? 상하차를 크레인으로 하니깐 마땅한 공식이 없어서 백호로 대체하겠습니다. 시간당 작업량 기계경비의 기본 공식은 Q=(3600*q*k*f*E)/cm 이란것은 아시죠? 어차피 크레인도 붐대 돌리고해야되니 비슷한 장비라고는 백호 밖에 없을듯 합니다. 여기서 응용 좀 하시던가, 아니면 직접 크레인 옆에가서 시간을 재보는 방법이라던가 아니면 주택공사 같은곳에서 산출한 근거를 가져오는 방법밖에 없을듯합니다. q값이 바가지 용량이니깐 다 무시하고 나무 1주로 잡으면 됩니다. f값도 토량이 아닌관계로 1로 잡으면 되고요. E값과 k 값은 현장여건에 맞게 잡으시고요. cm은 한 사이클당 시간 소요고 3600은 1시간을 초로 환산한것입니다. 이렇게 산출하면 시간당 작업량이 나오겠죠? 시간당 작업량을 전에 구한 시간당 노무비 재료비 경비에다가 각각 나누어버리면 주당 얼마가 들어가는지 나오게 됩니다. 예를 들어 3,000 (원/hr ) / 6 (주/hr) = 500 (원/주) 1주에 500원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노무비, 재료비, 경비 다 이런식으로 구하면 상차에 대한 수목 1주의 기초 일위대가는 나오겠죠? 하차 또한 마찬가지로하고요. 운반은 트럭이니깐 덤프트럭 공식 아시죠? 기계경비는 거의다 산출공식 비슷합니다. Q = (60*q*f*E)/cm 60은 시간당 작업량인 관계로 분단위 입니다. 마찬가지로 f값은 수목이니깐 1이 되겠죠! cm은 사이클이니깐 트럭인 관계로 cm=t1+t2+t3+t4+t5 t1=적재시간 t2=왕복시간 t3=적하시간 t4=적재장소도착해서적재시작시까지 짬나는 시간 t5=적재함덮개 설치,해체 시간 여기서 t5 까지는 쓸필요 없으니 생략해도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품셈책 덤프트럭 파트에 있으니 참조하셔서 계산하십시오. t1과 t2는 크레인 상차 하차 사이클 생각하셔서 계산하면 됩니다. 덤으로 인력품까지 계산해주셔야겠죠? 상차할때 로프 걸기나 하차할때 로프 풀기요! 이렇게 상차,하차,운반 따로 시간당 작업량을 산출할 수 있겠죠? 그럼 전과 마찬가지로 수목 1주당 금액이 노무비, 경비, 재료비가 터져나옵니다. 이렇게 금액이 산출되면 상차,하차,운반 합치면 수목 1주당 운반비가 나옵니다. 그럼 운반비 기초일위대가도 나오겠죠! 굴취나 식재는 품셈책에 조건 다 주어져있으니깐 인건비와 기계경비 곱해주면 일위대가 그냥 나옵니다. 굴취같은 경우는 필요한 새끼의 길이도 나와 있으니 새끼의 재료비 일위대가에 포함시켜주시고요. 굴취 기초일위대가 + 상하차 기초일위대가 + 운반 기초일위대가 + 식재 기초일위대가 모두 합치면 수목이식 일위대가 나오겠죠? 일위대가 나왔으면 뭐 그 다음에 내역서로 넘어가면 되겠고요.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너무 난잡하게 써놔서 이해가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