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l1489
27살 여자입니다.
시공회사에서 5개월째 일하고 있는데
원래 설계회사가고 싶었지만 지방에는 설계회사가 잘 없어서
빨리 일할려고 시공회사 들어왔거든요
근데 아무리 시공에 있을려해도
노임 늦게 줘서 인부들한테 욕 얻어먹고 ㅜㅜ
사장님 제가 느리다고 머라하시고
맨날 돈 만지는 건 제가 잘 못하겟습니다.
이러다 평생 여기서 수목 견적만 뽑다 말겠구나 싶고..
저번에 일하던 언니 시집도 못가고 37에 관두더이다 ㅜㅜ
서울로 가서 원래 하고 싶었던 설계일 하려고 하는데
신입으로 가기엔 나이가 너무 많지 않나요 뽑아주기나 할까요??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저두 슴일곱입니다. 신입이지만.. 저두 돈달라는전화 엄청나게 빗발칩니다. 시공 힘들긴 하지만.. 전 설계보단 시공이 낫네요.. 설계 엉덩이에 땀띠나도록 야근하고 또하고... 차라리 시공이 낫습니다.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여자분이 시공을 와우~ 멋지십니다. 지방보단 확실이 수도권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설계 시공 말고도 계획도 있고 공무도 있습니다. 여자분이시라면 전 공무쪽을 추천합니다만.. 설계 정말 바쁩니다. 몇푼 안되는 설계비 받을려고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 현장 시공이 아니구요 시공회사 공무에요.. 도면 체크하러 현장 나가는 것 말곤 현장에 별로 안가죠. 도면 체크할때 일을 제대로 하고 있단 생각이 드는데 시공회사에 공무는 견적 뽑는 것 만이 전부인것 같아서요. 일하면 설계가 더욱 보람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저도 스물일곱 여자인대요 작년에 설계회사 입사했네요 ^^ 전 전에 경력도 없었거든요 설계회사에서 시공회사 경력을 어느정도 인정해줄 진 모르지만 나이가 문제되진 않을 듯 싶네요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19공무도 전문직입니다. 님 말대로라면 하는일이 좀... 진정한 공무라고 하기에는 좀... 대충 무슨 뜻인지는 아시겠죠? 자기 계발 차원에서 발전 가능성이 별로 없어 보일듯 합니다.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된 회사라면 공무일을 본다면 자부심이 대단할텐데요! 간단한 경리업무와 공무업무의 구분이 모호한 회사들이 많아서 자신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헛갈리게 되는 상황도 많죠! 그런데 회사의 모든 현장에서 올라오는 자료들과 기타 수 많은 전문 서류들이 본사 공무직들에게 거쳐가는데 그 만큼 아는것도 많아야되고 아무튼 팔방미인이 될 수 있는 조건입니다. 제 주관적인 생각에는 님께서는 제대로된 공무업무를 접해보지 못한 관계로 공무라는 업무에 회의가 드는것 같은데, 지금 다니는 회사보다는 스케일이 좀 큰 다른 회사를 한번 찾아보심은 어떨런지요? 설계보다는 그래도 공무가 근무 여건이 더 좋을듯 합니다. - 신입이기엔 많은 나이.. 괜찮을까요?
비공개l2007.07.21단순히 나이만 가지고 말씀드리자면 27이면.. 좀 어렵긴해도 전혀 불가능한 나이는 아니라고 봅니다. 문제는 단순히 나이가 아니라 님께서 설계를 얼마나 좋아하시고, 얼마나 설계회사에서 근무하기위해 준비해오셨으며, 또한 본인에게 설계에관한 실력 및 자질이 있는가를 숙고해 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단순히 지금 하고계신 공무가 전문분야가 아닌것 같아서 설계를 하겠다는건 아니시겠죠? 먼저 답글다신 분 말씀처럼 공무도 전문분야입니다. 님이 현재 근무하고계신곳은 정말 영세한 식재업체인것 같은데, 대기업 같은 곳은 공무직원만도 엄청나고 업무도 전문적이죠.. 굳이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규모가 갖추어진 조경시공업체라면 공무부가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단순히 속해 있는 곳의 상황만 보고 속단하여 설계로 눈을 돌리지는 마시고, 정말 자신에게 잘 맞는 일이 무엇일지 잘 생각해 보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설계가 정말 하고싶고, 본인 적성/재능에도 맞다고 생각하시면 지금 어느정도 준비하고 계신지는 모르겠으나, 사실 나이가 좀 많으신것 같으니, 준비를 철저히 하십시요. 신입이라고해도 대학에서 기본적으로 터득해야할 계획/설계에 관한 기본 이론지식은 물론이거니와, 캐드/포토샵/파워포인트/엑셀 등의 기초적인 프로그램 툴 및 스켓치 실력 등의 기본기를 튼실히 다지고 지원하시면 설계사무소에 입사하시는데 큰 무리는 없으실것 같습니다. 이런 지식들은 님께서 조경에 애착을 가지고 대학생활을 충실히 하셨다면 현재 충분이 이런정도의 실력은 갖추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혹 일부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대학 조경전공자라면 이정도는 단기간에 보충할 수 있는 부분이고.. 사실 회사에서 일하다보면 신입사원 능력도 천차만별입니다. 보통 튼실한 회사일수록 신입사원도 제대로 분별하여 기본기가 갖춰진 분들로 뽑죠.. 이런분들 최소한 제가 위에서 언급한 기본기들은 대부분 혹은 그 이상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그럼 당연히 그런분들에게는 일할때 실무에 관해 하나라도 더 갈켜주고 이끌어주고 싶죠.. ............................................................................................... 요즘 조경설계도 회사마다 전문분야를 갖추고 특정 과업위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과업종류별로 생태/경관/단지(아파트)설계/리조트-테마파크-골프장 등의 대단위조경/공원-광장-보행로 등의 공공 Open space/빌딩-실내외정원 등의 소규모조경 등과, 과업수행단계 및 방법별로 컨설팅/계획-인허가/턴키-현상/기본설계-실시설계/적산 등.. 조경이 전체 외부공간을 다루는 분야로 워낙 업무영역이 크다보니, 업체별로 전문분야를 가지고 특화시켜 나가고 있다는 것은 참 바람직한 현상이고, 또 조경이 제대로 잘 발전해 나가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봅니다. 이런 예길 장황하게 한 것은. 님이 정말 설계를 하고싶다고 판단하셨다면, 본인이 어느정도 규모의 조경설계일을 하는것이 맞을지 생각해보시고 거기에 걸맞는 준비를 확실히 하시는게, 지금 나이가 좀 많아 약간 불리한 위치에서 설계사무소에 제대로 취업하실 수 있는 혜안이 될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때문입니다. 시행착오 겪기에는 나이가 좀.. 그렇지 않습니까? 지금은 지름길을 생각해야할 때인듯.. 또, 이왕이면 자신에게 맞는 회사까지 알아보고 준비하시면 더 좋을듯.. 님이 대학조경전공자라면 선후배/잡지/인터넷커뮤티니 등.. 님이 노력만 하시면 충분히 본인에게 맞는 회사를 찾아 내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여튼 좀 늦었다고 성급히 설계사무소에 지원하지 마시고, 신중히 잘 알아보시고 준비하셔서 본인에게 걸맞는 회사에 입사하시길 바랍니다. 여튼 님을 포함하여 모든 조경인들 화이팅입니다. 공무든.시공이든.설계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