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4l1838
저는 광주의 작은 종합조경건설회사를 다니는데...
이제 출근한지 1달 되었습니다.
말이 종합조경건설이지...그냥 직원 5명 있는 회사구요.
취업이 급해서 그냥 일하고 있는데...
저희 회사는 멀쩡한 건물에 있는 사무실이 아니고 빌라에 사무실이 있습니다
빌라라고 해서 제대로 된곳이 아니고 채광도 안될정도로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곳이고 2층이나 1층도 아닌 지하입니다.
당연히 주택가에 위치해서 회사를 알리는 멀쩡한 간판도 없고..
회사의 실적을 알리는 회사 홈페이지도 없구요.
월급도 무지 짭니다.
집에서 거리도 무지 멀구요.
여기를 꾹 참고 다녀야 할지... 아니면 다른곳을 알아봐야 할지..
첫직장이 중요한데..정말 이건 아니다 싶습니다.
그치만 조경은 첨부터 연봉을 보지 말라는둥... 그러면서 배운다는둥...
원래 조경회사가 다 이런거라는둥..
이런 말들때문에 그냥 다녀야 될것도 같고...
원래 조경회사들은 다 이런가요?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5쓸데 없는 생각 하지마시고 돈 제대로 받고 돈 받는만큼 열심히 일해 주십시오 연봉 상관없이 일배운다는 말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말인지 알수 없으나 제 생각에는 조선시대 돌쇠이하 여러 종들의 역할이었던거 같습니다 비록 요새 대학 졸업자들이 넘쳐나지만 당신은 4년제 대학 나온 대한민국의 일꾼입니다 처음에 연봉 안따지고 일배우면 1년 2년 3년 지나고 일 혼자 처리할 능력되면 연봉 많이 준답니까? 뭐 저도 제 생각만큼 제대로 받고 일하고 있진 않지만 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조금씩 노력합니다 윗분들께 직 간접적으로 말씀 드려보기도 하구요 이런식으로라도 조금씩 고쳐나가지 않으면 옆동네 IT업계처럼 썩을것 같습니다 노력합시다 좀더 나은 나의 생활과 미래를 위해서! 자기의 권리는 누가 찾아주는게 아닙니다..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5저는 광주의 작은 종합조경건설회사를 다니는데... 이제 출근한지 1달 되었습니다. > 저도 2달 좀 넘었는데 상황이 비슷하네용 서울에 조그만한 회사 말이 종합조경건설이지...그냥 직원 5명 있는 회사구요. 취업이 급해서 그냥 일하고 있는데... > 저희 회사보다 나으시네용 저희 회사는 달랑 3명이랍니다. 저희 회사는 멀쩡한 건물에 있는 사무실이 아니고 빌라에 사무실이 있습니다 빌라라고 해서 제대로 된곳이 아니고 채광도 안될정도로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 곳이고 2층이나 1층도 아닌 지하입니다. 당연히 주택가에 위치해서 회사를 알리는 멀쩡한 간판도 없고.. 회사의 실적을 알리는 회사 홈페이지도 없구요. > 홈페이지 없는것과 사무실이 비슷하네용 단 저희는 2층이라는거 월급도 무지 짭니다. 집에서 거리도 무지 멀구요. >집에서 거리는 멀지 않지만 월급 짠것은 인정하면서 동감하는 바입니다. 그리고 연봉제가 아니라 전 월급제 라는거.. ㅡㅡ 하는일은 잡부 수준 쿠헬헬 여기를 꾹 참고 다녀야 할지... 아니면 다른곳을 알아봐야 할지.. 첫직장이 중요한데..정말 이건 아니다 싶습니다. 그치만 조경은 첨부터 연봉을 보지 말라는둥... 그러면서 배운다는둥... 원래 조경회사가 다 이런거라는둥.. 이런 말들때문에 그냥 다녀야 될것도 같고... > 저도 관두려고 생각하려다가 첫 직장이 중요한 법이라 그냥 깡으로 버티는중입니다. 못해도 6개월 아니면 1년은 기본으로 해야 해서 1~3달 하다가 관두면 경력도 않되지만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게 되어서 원래 조경회사들은 다 이런가요? >글쓴님과 저와 같은 상황이라면 다 그런것 같습니다. ㅡㅡ; 아 그리고 참고로 경력이 있어야 다른 회사 옮기더라도 대우 받습니다. 여기 갔다 저기 갔다 하면 인정 받기 힘들다는..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5제가 지금까지 경험해본 결과.. 1~3개월 일한것, 6개월일한것, 1년일한것. 모두 똑같이 인정안해줍니다..적어도 2년이상일해야,,그래도 일했구나 해주죠,, 6개월 일하고 옮기실거면 지금 옮기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님께서 일하시는 곳말고도 얼마든지 나은 환경에서 일할곳은 많아요..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6취업나가기전 교수님이 저를 붙잡고 하신말씀이.. 딱 2년만 참아봐라... 조경업게는 한2년은 해야지 되나봅니다.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06제가 말쓴드리는 분야는 시공 관리입니다. 설계하고 같이 생각하시면 않됩니다. 시공 관리에서는 할수 있냐 없냐를 묻습니다 ^^: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12님 글을 읽어보니..규모를 보아하니 단종시공업체인것 같군요.. 그 중에서도 지극히 영세한.. 당연히 조경업체가 다 그렇지 않습니다. 시공업체도 식재/시설 단종업체냐 주요건설사 원도급회사냐. 뭐 등등에 따라 수십명에서 수백명까지 다양한데.. 근데.. 5명이라는건 정말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너무 작은듯. 정말 규모가 작은 공사만 하던지.. 조경공사라 할만한 어느정도 규모의 한 현장에만 최소 4~5명 이상은 있어야 공무보고.. 현장일보고 관리하고 하는데.. 그 회사가 한 현장만 돌릴리도 없고.. 최소한 수십명은 있어야 시공회사가 운영되는데.. 님 입장을 제가 정확히 모르니 섣불리 관두라 마라할 입장은 못되는것 같고.. 처우가 불만이시면 열공하셔서 대기업 시공현장직으로 나가십시요. 연봉도 빵빵하고 공사하는 퀄러티도 높습니다. 당연히 복지혜택도 좋고. 아님 대기업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규모가 되는 실력있는 시공업체 들어가셔야 제대로 배우실듯. 설계의 경우야.. 작은회사는 다양하게 빨리 배우나 프로젝트규모의 질은 다소 낮을 수도 있고, 큰회사는 조직이 큰 만큼 전체를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모.. 이러한 장단점들이 있으나.. 시공현장의 경우는 어차피 이런 차이가 없으니.. 능력만 갖추고 계신다면야 큰 회사에 들어가시는 것이 제대로 일을 배울 수 있겠죠.. 일정 규모이상의 시공 잘하는 회사에서 시공한 현장이 디자인. 마감. 구조물. 디테일. 뭐다 달라도 다르죠.. 그리고, 설계나 시공이나 회사에서는 최소한 1년 이상은 다니셔야 하지만.. 님 같은 경우는 첫 직장에 시공분야인것 같으니.. 뭐 경력 인정받을 생각마시고.. 아니다 싶으면 빨리 옮기시는 것이.. - 여러분들 회사도 이렇나요?
비공개l2007.07.13어디 대기업 건설업체 이야기 하시는듯.. 제가 여러 현장 돌아보고 업체 많이 보아 왔지만 3~10명이상 넘는곳이 없던데 순수 조경 시공쪽일을 하는 업체중 국내에 제일 많은 회사 인원이 33명입니다. 또한 조경 시공 같은 경우는 건설업체나 토목업체에서 뭐 정부(도내,도로,환경) KCC 고려개발 대림 SK GS 등등.. 에서 하도 업체두어 입찰방식으로 일을 따내서 하는식입니다. 과연 윗분과 같이 말한 회사가 과연 있는지 모르겠네요 대기업 아닌 이상 거진 조경업체 비슷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에 가보기는 하신건지 조경업체 직원은 1~2명 정도 나와 있고 거의 현장 반장과 인부들 뿐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