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2l2082
여기 글을 대강읽어보니 급여 문제네요 사회초년생, 졸업생들의 질문 ^^ 전 07년1월에 입사한 한달도 안된 신입사원입니다. 제일중요한건 회사의 능력, 비젼~ 뭐 이런걸봐야하는데 솔직히 초년생이면 잘모르자나요~~~^^;; 저두 몰랐고... 돈도 돈이지만 회사 비젼 제일 중요합니다. 선배님들한테 물어보셔야해요...필히!!! 급여 = 비젼 이라는 말이 얼추 비슷할껍니다. 음... 저희 2007년2월 졸업생기준으로 연봉을 대략 평가한다면.... 최하 1800~ 최고 2400 까지 봤습니다. 전 지방대 출신입니다. 아 그리고 자격증은 필수입니다. 하다못해 산업기사라두 반드시 지참 죄송하지만 자격증없으면 취업생각마세요 제 주변에서 보면 개무시....잡노동..... 이런경우도 있답니다. 반드시 열공하여 기사자격증을 취득하세요~~~ 두서없는 잡담 죄송요~~ 아 한시간뒤면 퇴근...ㅠㅠ
참고URLl
키워드l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2
    저 신입일때 자격증 없는데 취업했거든요? 신입때 연봉은 2400 이고 비전있는 체계가 잡힌 회사였습니다 개무시? 글쎄요 ? 전 자격증 없어도 개무시 당한적도 없고 당당히 일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있는것이 당연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그것보다는 자신을 어필할수 있는 그 무엇이 필요하겠네요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4
    신입 연봉 2400...비전체계 가능하고.. 그런회사가 어딘지 좀 알려주세요 ㅜㅜ 자격증 없이도 가능하고.. 그런곳은 매일 밤낮으로 야근, 철야하고.. 주말에도 항상 일하고.. 그런회사 인가요?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4
    시공은 자격증이 필요하겠지만 설계는 +@로 거의자격증수당으로 따로받는데가있거든여...머..산업기사나 기사나 하나라도있으면 비슷비슷하게 받으니까..있으면좋겠죠.ㅎ 역시나 설계는 자격증은 기본바탕으로깔고서 자기를어필할수있는 그런게 필요한거같더라고요 ..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4
    그런건 아니구요 평소에 주5일 퇴근시간 일정합니다 바쁠때는 어쩔수 없겠죠?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5
    2400 음.. 엔지니어링이 아니고 이렇게 많이주는데가 있나요? 그룹한? 가원? 어디야.. 어디.. 당장 지원하고싶네요. 전 가끔일요일에 쉬고(토요일?? 말만쉬는날) 항상 야근(야근이라는게 월래 퇴근한하고 밤세는거 아니에요? 야근 그러면 10시나 11시퇴근 그렇게 생각하시던데...난 야근은 당연히 밤세는걸로 얼마전까지 알았어요..) 그리고 친구, 부모 다 떨어져 나갈정도로 집에 못들어가고.. 2000안되고.. 이제 2년다되가는데... 기술사사무소 쳇!!... 보통 신입입니다... 아니면 취업준비생입니다.. 하면서 글을 올라오는거 보면 너무 눈이높아져 있는거같은데... 1800아직도 안되는 회사 많은데..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 스스로 불평 불만이 잔뜩있구.. 그리고 회사 불평하는글보면서 뭐 저정도 가지고 그르나.. 그런생각 가끔해봅니다. 제 생각엔 결국 연봉이고 자시고 그게 중요한게 아니라.. 회사에 내가 필요한 사람인가 그게 더 중요한거 아닌가 하네요 회사에서 기사 자격증 보유자가 꼭 필요하면 데려오느라 돈들거고 경력직이 꼭 필요하면 데려오느라 돈들거고... 자격증도 중요하지만 결국 결과물과 돈을 벌어올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회사는 사람을 키워주는데는 아니거든요. 무조건 돈입니다. 가끔은 제가 기계가 된거같습니다. 항상 머리속은 비어있고 피곤함에 찌들어서 컴터 앞에서 밥도 가끔 못먹으면서.. 열심히 보고서에 도면에 치고 있으면 내가 뭐하러 사나 그생각도 들고.. 물론 옛날에는 우리는 이러쿵 저러쿵 했다.. 그러면서 회사에 자신을 모두 팔어달라는 모 그런거..지금 배우는거라 생각해라.. 여기서 열심히 하면 다른회사가는거 보다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 귀에 따갑게 들으면서 박봉과 과업의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고 있고..... 시대가 변해간다는 생각.. 디자인을 하는 사람으로서 조금의 신감각을 서로 가져보면 어떻게 습니까..하고.. 사장님께 말씀드리고 싶은 고민.. 요즘은 회사에 충성한다고 미래가 밝아지지는 않습니다. 계속 자기개발하고 노력해야하는데... 시간좀 주세요. 하루에 1시간은 공부할 시간은 주셔야죠 하루 평균 5시간 수면이 많은 시간은 아니지 않습니까 사장님..하고 말하고 싶은 고민에 매일 매일 살어가고 있습니다. 그래도 전 기사도 없고.. 아무 빽도 없구... 아는것도 없지만... 몸값은 다행이도 조금씩 올라가고 있지만.. 조경직이 연봉이 작은편은 아니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일량에 비하면 많이 적죠.. 도데체 어딘지.. 신입 2400은? 부럽다. 제 생각엔 2천도 일량에 비하면 많은거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물론 건축설계보다는 많타는 이야기들을 해주시지만. 사원들이 피땀흘리고 눈 터져라 도면 쳐대는거 보면서 조금은 이해좀 해주세요. 수금안되고 저가 경쟁하는게 사원잘못은 아니지 않습니까. 두서 없이 글을 쓰고 있는데..(멍해서...) 위에 07년 1월 입사분이 아주.. 멋지고 폼나게 글쓰신거 보고 갑자기 괜히 울컥했네요... 이런..황당한.. 이름서. 나만 그른가?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5
    그룹한 신입초봉 2400 맞습니다.. 그러나 그룹한 돈 많이준다고 좋은곳이라는 생각은 하지마세요..
  •  취업준비생님들...보세요^^;
    비공개l2007.02.05
    설계 신입 2400, 2300, 2200대 제법 있습니다. 자기회사 연봉 적다고 모든 호사가 다 그럴거라 생각 마세요 지난해엔 설계 신입 연봉 3000이 화제갸 된 적도 있었습니다. 정말 자신이 하는 일이 연봉 2000정도 밖에 안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연봉2000이면 한달 수령액은 150 안짝 일텐데 노가다 일당 잡부도 한달 그렇게 야근하면서 일하면 150은 넘게 받습니다 (일당잡부 비하하려는 뜻 아닙니다.) 스스로 자신을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좀더 실력을 쌓으실 필요가 있으실 듯 합니다
질문하기
질문하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