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3l1745
생태복원회사 중 규모가 크거나 알찬 회사들은 어디어디가 있나요?
참고URLl
키워드l
  •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3
    구인게시판에..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소 생태복원 회사입니다.
  •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4
    몇개 있습니다. 에코텍 엔지니어링 한국자연환경연구소 윗분이 말씀하신 넥서스 환경디자인연구소 생태복원이 전문은 아니지만.. 생태마을을 하는 주)이장 인공식물섬으로 수환경개선을 선도하는 아썸 등이 기억나는 군요. 생태복원전문회사는 제가 아는 위 두곳이구요 그중 한국자연환경연구소는 설계 시공 영향평가 를 주 업무로 하고 있군요. 넥서스 환경디자인연구소는 신생기업이지만 충분한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생태복원일에 관심이 많으시면 연락함 주세요 02 333 2905 입니다
  •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6
    취업 때문이 아니라 그냥 생태복원에 대해 궁금해서 글남깁니다. 저는 조경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사이트 답변을 보니 두번째 답변자께서 생태복원 분야에 대해 많이 아시는 분 같으신데요. 진짜 궁금해서 그럽니다. 생태복원기사 공부를 하다보니 조경이랑 생태복원은 너무 다른 분야인것 같기도 하고... (개발과 보존이라는 대립되는 분야의 정체성 문제랄까요?? 제 생각엔 생태복원은 복원이란 확실히 큰 타이틀이 있으므로 조경에서 안을수 있는 정도는 생태조경이 아닐까 싶습니다. 건축에서 생태건축이라는거와 유사한.....) 한편으론 조경이 생태복원과 가장 유사하며 가깝지만 토목쪽으로 다뺏기고 있는거 같기도 해서..... 도저히 모르겠네요. 생태복원 바이블이라 불리는 원론책 쓰신 S대 김XX교수님도 학과신설 필요성과 조경과의 다른 분류로 정의 내리고 있으니.... 아직 정착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꺼 같습니다 (제 생각;;;) 과연 생태복원이 가능성이 있을까요??? 여기서 가능성은 조경을 하며 생태복원을 한다는 겁니다. 생태조경이 아니라 생태복원이요~ 어디 아파트에 생태연못이라 찌익~하고 이름 붙여 개구리 잡아다 푸는 그런 생태가 아닌 자연적인 생태복원 말입니다;;;; 진짜 궁금합니다 -_- 요즘 추세는 어떤가요??? 법적인 보호같은 것이나 일자리 창출이나...;; 국가기관이나 공무원직 신설같은거는 없나요?
  •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7
    주변에 자연환경복원기술사? 취득하신 분이 계시는데 요즈음에...법적 영향력 및 기타 확대를 위해 다각도로 활동하시고 계시던데요...이미 기술사 따신분들이 그들의 업역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은 확실합니다.
  •  생태복원과 관련된 회사는 어떤게 있나요?
    비공개l2006.11.08
    생태복원이라.. 요즘 국가정책의 기본방향, 시민들의 의식수준향상등 사회각분야에 요구되는게 생태라는 단어가 들어간 조경입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생태조경이라해놓고 개구리 잡아다 풀어놓는게 무슨 생태복원이냐? 물론 아닙니다.하지만 도시는 폐쇠적인 계이기때문에 종의 이입이 굉장히 느립니다. 그래서 아파트조경시 생태연못이라는 곳에 살 동물을들 채집 또는 구입하여 방생하게 되죠. 하지만.. 이 동물들이 만약 그 생태연못이라는 곳에서 지속적으로 증식을 하고 그것을 계기로 인해 종의 이입이 확산되거나 종다양성이 증대되면 그것도 생태복원을 하였다 할 수 있을껍니다. 단지 종의 이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하는 일일뿐이죠 나중에 차츰 균형을 잡아가게 되면 그 생태연못이라는 한정된 장소가 쇠퇴하느냐 지속되느냐에 성공여부를 두고 싶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생태복원은 자연의 회복능력을 최대한 끌어주는게 생태복원이라 생각합니다. 진정한 의미의 복원을 위한 생태복원은 없다고 봐야 합니다. 생태복원을 한다? 제대로 할려면 무조건 개발을 반대해야 겠지만 현실에 진정한 복원은 개발이 있을 곳의 환경용량을 분석하여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에너지에 의존을 최소화하는 그런곳이 아닐까요? 생태복원을 한다는 회사들? 전 정말 말도안되는 것들 가지고 생태복원기법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것들을 많이 봤습니다. 생태계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조사하고 그 종에 따른 영향이나 특수종에 대한 보존대책은 아마 인간중에 그 종에 대해 전공한 사람밖에 없을 뿐더러 그 전문가들이 있는 저희 회사조차 재료를 구하기 힘들어 시공하기가 참 까다로운데 말이죠.. 생태복원쪽에서 일을 하고 싶으시다구요? 그럼 님은 기본적으로 생물에 대해 관심이 많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달의 이동통로를 만든다..그럼 수달의 행동양식에 대해 잘 알아야 전문가들이 요구하는 것을 쉽게 도면에 옮길 수 있겠죠? 말이 길어지는데요.. 요즘 습지라는 것을 많은 회사들이 만들어 냅니다. 그런데 습지가 뭔지 아시나요? 습지는 천이의 중간단계입니다. 언젠간 없어지는것이 당연하죠 하지만 생태복원하는 회사에서 어떤 단체의 요구에 의해 습지를 만들어 주었는데 그 습지란게 곧 자연적으로 천이가 되어 없어진다고 해서 그것을 그대로 나둘수 있을까요? 아마 그건 하자보수 감이지 성공적인 시공사례가 아닐껍니다. 그래서 인간이 말하는 생태복원은 복원이라긴 보단 복구이며 인간이 주기적으로 간섭하는 것입니다. 그것도 하나의 생태계가 되는 셈이죠 생태계는 본래 지속적으로 파괴되어지고 복구되어지면서 종의 다양성이 증대되기도 때론 쇠퇴하기도 어떤경우에는 종이 개선되기도 하곤 합니다. 결론은 인간의 활동은 생태계가 회복이 가능한한 용량에서 이루어지는게 진정한 생태복원이라 생각하구요. 종에 대한 생태복원은 그 특정종이 살아 갈 수 있는 최적의 면적과 최소의 조건을 남겨두는 여유가 있는 그런 개발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글도 조리있게 못쓰고 내용도 왔다갔다 한점 이해해주세요^^;)
질문하기
질문하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