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건설회사의 조경파트
비공개l2006.02.10l1951
건설회사의 조경파트에서 하는 주 임무가 무엇인지
2군에 속하는 건설회사의 신입연봉은 얼마가 적절한지
궁금한것이 많습니다.
설계회사에 들어가서 설계를 하는것과 건설회사의 조경부에
들어가는 것중
어느것이 더 현명한 방법인지 답변 부탁드릴께요~
- 건설회사의 조경파트
비공개l2006.02.10어느 2군업체의 조경직을 말씀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2군업체에 조경직이 있었나요?(제말은 티오가 있냐는 말입니다 ^^) 저희 회사 아파트 프로젝트만 1년에 100-120개정도 합니다. 손대고 있는 것은 약 300여개 되고 그러한 이유로 건설회사 조경파트와 협의도 많고 정보도 많이 알고 있는 편입니다. 일단 1군중에서도 몇몇 업체만 초봉 3000이 넘습니다. 보통 2800수준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2군업체일 경우 이보다 적을 듯 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비젼이겠죠. 용들이 사는 곳에서 뱀 역활을 하겠습니까, 아님 같은 뱀들끼리 오손 도손 살시겠습니까? 건설회사 조경직은 일단 진급이 느립니다. 티오가 거의 없습니다. 1군 업체도 대형건설업체에 조경직 현장직 제외하고 현대건설에 10명 조금 넘습니다. 현대건설에 10명 조금 넘습니다. 알만하죠.. 그러한 이유로 개인이 챙겨야할 프로젝트가 상당히 많습니다. 그말은 2군업체일 경우 혼자 그 건설회사 조경을 모두 담당하기도 합니다. 생각보다 쉽지 않은 자리입니다. 물론 어디가나 쉬운 자리가 있겠습니까? 설계사무소도 몇몇업체를 제외하고는 힘들어서 못해먹겠다고 다 떨어져나가는 판국 아닙니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건설회사를 목표로 건설사들과 친한 설계사무소가 몇몇업체가 있죠, 그곳에서 근무하다가 경력으로 지원하는 것도 좋은 방법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1군업체의 조경담당분이 하시는 말씀이 [설계에 대한 분석도 중요하지만 아파트 외부환경의 컨셉과 테마, 그리고 타 업체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는 블루오션의 창조 및 프레젠테이션 능력과 설계업체에서 보낸 도면을 보고 견적을 작성하여 적적공사비를 산출하며 타 업체의 특화안 및 설계도서를 참고하여 앞선 특화방안 창출(아파트가 붙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담넘어 경쟁사와의 차별성이 중요하답니다)등의 능력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무었보다 가장 중요한것은 건설사 조경직이면 조경설계사무소 쥐어짜서 좋은 설계도면 만들어내는 머머하는 능력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럼 이정도면 참고가 되셨는지요. 님이 원하시는 곳에 좋은 소식이 있길 바라면서..건승하세요 - 건설회사의 조경파트
비공개l2006.02.11원래 이 회사에 조경부서가 없었는데 이번에 새로 신설되었습니다. 경력3년이상의 경력자 00명과 신입 여직원00명의 티오가 있어 지원했구요. 사회생활을 처음 시작하기에 이것이 현명한 선택인지 과연 잘할수 있을지 걱정만 되네요.... 보통 건설2군에 속하는 사람은 평생 2군에서만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말을듣고 많이 좌절했지만 노력해서 1군 회사에 경력직으로 도전해볼렵니다. - 건설회사의 조경파트
비공개l2006.02.15건설사 조경직. 작년 시공사 조경직으로 공채로 들어갔습니다. 현대 조경직이 많이 알려져있지만 저희 회사도 조경직이 10명이 넘을 정도로 많은 편이지요. 아직 신입이지만 조경직으로 선배들을 보면 '스페셜리스트'라는 느낌을 갖습니다. 또한 파워에서도 밀리지 않는다는 생각이지요. 나름대로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조경전공 부장님께서 팀장이 되셨고 그만큼 파워가 올랐다는 증거입니다. 윗직급 선배님들이 조경이야기하면 싫어하십니다. 조경을 탈피하라고 하시지요. 실제로 조경일로 시작하지만 차장직급정도되면 대부분 민간개발사업쪽에 계시고 투자관리실, 외국지사 등에 나가 있습니다. 자기 얼만큼 하기 따라서 진로가 열려있는 셈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