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궁금한게 있어요~
비공개l2004.01.30l1080
여기서 여러 선배님들의 글을 읽다가 궁금한것이
생겼는데요~
왜 서울 양재동을 조경인의 무덤이라고 하나요?
그곳에 조경회사가 많은것은 알고 있는데 왜 무덤이라고
표현하는지.. 여기서 처음 봤거든요^^;;
알려주세요~
- 궁금한게 있어요~
비공개l2004.01.31양재동에 조경회사가 많은데........ 환경자체가 열악하고 돈도 많이 안주고...... 사장끼리 연봉을 담압하는 경우가 있어서...... 양재동이 조경인의 무덤이라고 하죠.... - 궁금한게 있어요~
비공개l2004.01.31>양재동에 조경회사가 많은데........ >환경자체가 열악하고 돈도 많이 안주고...... >사장끼리 연봉을 담압하는 경우가 있어서...... >양재동이 조경인의 무덤이라고 하죠....---------- -------------------------------------------------------------------------- 조경회사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조경시공회사들 아닌가요? 뭐!조경시공회사랄것도 안되는 농장관리던가! - 궁금한게 있어요~
비공개l2004.01.31>>양재동에 조경회사가 많은데........ >>환경자체가 열악하고 돈도 많이 안주고...... >>사장끼리 연봉을 담압하는 경우가 있어서...... >>양재동이 조경인의 무덤이라고 하죠....---------- >-------------------------------------------------------------------------- >조경회사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조경시공회사들 아닌가요? >뭐!조경시공회사랄것도 안되는 농장관리던가! 설계회사도 다를게 없죠.....설계회사도 양재동에 많습니다..... - 궁금한게 있어요~
비공개l2004.02.05>양재동에 조경회사가 많은데........ >환경자체가 열악하고 돈도 많이 안주고...... >사장끼리 연봉을 담압하는 경우가 있어서...... >양재동이 조경인의 무덤이라고 하죠.... 연봉 담합.. 마음이 답답하네요. 어쩌면 이런 현실 때문에 저는 조경을 전공하고도 조금 떨어진 영역에서 전공을 활용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담합 이길 장사는 없습니다. 용역의 경쟁력이라는 것이 어짜피 인력덤핑이겠지만, 어짜피 그렇다면 사주들의 담합이.. 사원들을 겨냥 할 것이 아니라 발주처를 향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얼마 안되는 임금 깎지 말고, 조경업무의 시장가격을 상향하도록 담합하심이 어떨지요. 다시 말하지만 담합 이길 장사는 없습니다. 합심한다면 조경업무의 시장가격을 상향하는 것이 서로를 위해 좋은 일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살 깎아먹기" 경쟁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업계에 몸담고 있는 수많은 조경전공자들 아닙니까. 그 것이 결국은 조경의 발돋움을 저해 하는 요소 아닙니까. 요새 좀 똘똘하다고 하는 졸업생들이 설계회사 가려고 합디까. 업계 인력관리도 안되는데 조경의 발전을 운운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겠지요. 이러한 문제의식을 대부분 공감할 것입니다. 그러나 해결은 쉽지 않지요. 작금의 정치판처럼, "세대교체"를 통해서만 분위기 쇄신이 가능한 것일까요. 그렇다면, 후학들은 제발 "시집살이 되게 한 며느리가 더 지독한 시어미 된다"는 속담의 교훈을 새겨 듣고, 그렇게 되지 않도록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제발 "나 초년생 때는 말이지~"라는 말은 하지 맙시다. 달라집시다. 진보합시다. 전후세대의 헝그리 근성을 갖지 못한 세대에게 대한민국이 맡겨진다고 해서 대한민국이 무너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전 세대에 없었던 역동적이고 창조적며 강한 자존심의 힘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를 열 수 있는 것 아닙니까. 조금씩 바뀌었으면 좋겠습니다. 진보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