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임업직에 관한 문의...
비공개l2002.11.07l858
선배님들...
임업직 공무원에 관심이 있는 학생입니다.
공무원준비하는데 보통 기간은 어느정도 잡고 공부하나요?
7급시험을 보려고 하는데, 기술직은 자료가 별로 없어서 좀 답답해서
글을 올립니다. 궁금한게 많아서 그러는데..관련 공부를 하신분이나 아시는 분들.. 죄송스럽지만 메일로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메일주소라도 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 임업직에 관한 문의...
비공개l2002.11.08>선배님들... >임업직 공무원에 관심이 있는 학생입니다. >공무원준비하는데 보통 기간은 어느정도 잡고 공부하나요? >7급시험을 보려고 하는데, 기술직은 자료가 별로 없어서 좀 답답해서 >글을 올립니다. 궁금한게 많아서 그러는데..관련 공부를 하신분이나 아시는 분들.. 죄송스럽지만 메일로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아니면 메일주소라도 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자세한 자료는 없지만 임업직 공무원은 중앙부처의 공무원보다는 시도지역의 공무원이 훨씬 조경과 연관된 분야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매년 5명 안팎(9급기준, 아마 7급은 더 적을 것입니다.)으로 뽑는데 간혹 국가유공자 자녀(10%의 가산점을 주어 거의 바보가 아닌 이상 100%합격한다고 봐야함.)가 끼어 있어 상당히 합격점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92점 이상) 님이 국가유공자나 자격증(조경기사, 임업기사 등등, 5%의 가산점을 줍니다.)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지원을 한다면 극구 말리고 싶습니다. 저의 경우에 주변에 공무원 준비를 하는 친구가 두명있는데 한명은 기사자격증에 국가유공자자녀로 15점의 가산점을 받는 친구가 있었는데 한번에 합격하더군요. 반면에 조경기사 자격증만 가지고 공부하는 친구는 아직도 공부중입니다. 그리고 2004년도부터 기술직 시험과목에 영어과목이 더 추가된다고 합니다. 좀 더 부담스러워지는 과목이 더 생기므로 지원할때 주의해서 지원하고 틈틈이 영어도 함께 공부해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차라리 행정직을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겁니다. 임업직으로 공무원이 된들 행정직공무원과 기술직공무원사이에는 엄연한 갭이 존재합니다. 진급도 행정직이 훨씬 빠르구요. 특히 진급에 대한 문제는 심각하여 기술직공무원이 되어도 미래가 불투명하여 고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