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조경기사 시험에 관한 질문
비공개l2008.02.22l2278
조경산업기사와 조경기사의 필기 및 실기 문의입니다
산업기사와 기사는 필기 및 실기시험을 어떻게 보고 합격조건은 뭔지 알고 싶습니다.
꼭 부탁해요
- 조경기사 시험에 관한 질문
비공개l2008.02.22필기는 필기로 보고 실기는 실기로 봅니다. 합격은 컷트라인만 넘으면 합격합니다. 너무 간단 명료한 답변이지만 확실한 답변이기도 했습니다. 기사나 산업기사나 패턴은 똑같습니다. 기사 필기가 아마도 몇 과목 더 많죠? 2과목 정도?? 시험 본지가 꽤 되었다보니... 사회생활 하면서 알콜의 섭취가 너무 많아서 그런지 가물가물 하군요. 아무튼 둘의 차이점이라면 난이도 차이입니다. 산업기사가 일반 산수라면 기사는 미분, 적분입니다. 예가 그렇다는것이고요. 필기시험은 일반 고등학교 고사장에 가서 시험 치면 됩니다. 간만에 추억의 고교시절의 교실로 돌아가게 되죠. 객관식이고 아마도 시간은 문제 다 풀고 남아 돌아서 주체할 수 없을겁니다. 출제 유형 파악은 기출문제 보면 대충 알 겁니다. 기출문제는 유즘 인터넷 까페도 많고 하니 쉽게 구할 겁니다. 시중에 문제집들 뒤적이다보면 기출문제들도 있으니 심심하면 서점이나 도서관에 문제집 뒤적거려 보십시오. 합격 컷트라인은 평균 60점입니다. 그런데 한 과목이라도 40점 밑으로 추락한다면 합격은 물건너 가지요. 다른 과목 100점 맞아서 평균 60점을 넘는다고 한들, 한과목이 35점 이렇게 나와버리면 재수 해야됩니다. 실기는 주관식이죠. 크게 두 과목으로 갈라집니다. 적산과 설계! 적산은 계산 문제가 주류를 이루죠. 현장 실무자들에게는 식은죽 먹기지만 대학생들에게는 조금 까탈스럽기도한 과목입니다. 40점 만점에 점수는 아무렇게나 받아도 됩니다. 채점 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수 없습니다. 소수점 어디서 끊어올리느냐에 따라 답이 다르니... 이것 참.. 그런데 대부분 몇번째 자리에서 끊어 치라고 조건이 주어지므로 크게 걱정은 안 해도 됩니다. 설계는 트레이징지에다가 보편적으로 3장의 도면을 그릴 겁니다. 개념도, 시설물, 식재 뭐 이런식으로... 멍하니 있다가 시간 잘 갑니다. 시간이 제일 아쉬운 과목 중에 하나일 겁니다. 이 또한 채점 방식을 알 수가 없습니다. 60점 만점에 마찬가지로 아무렇게나 점수 받아도 됩니다. 합격 점수는 적산+설계 합쳐서 60점만 나오면 한국산업인력공단에가서 자격증 하나 수령 받으면 끝나는것이죠. 실기도 뭐 시중에 기출문제집 하나 있을겁니다. 마스터 하고 가면 산업기사는 거의 붙는다고 봐도 되고, 기사는 진짜 완벽 마스터 하고 가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