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조경학적인 교량설계에 관한 자료요청
비공개l2002.01.10l1286
조경학도로써 조경의 영역을 좀 더 넓게 보기위해서
우리가 접근하기 힘든 조경이 도입 된 교량설계를
학교 2002년 작품전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하지만 접근하는 방법에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 조경학적인 교량설계에 관한 자료요청
비공개l2002.01.18조경이 도입된 교량은 없구요~ 기존의 교량과 달리 미적인 측면을 고려한 교량을 몇개 소개해 드리져~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Alameda Bridge "
스페인 Bilbao의 "Volantin Footbridge"
....이 있습니다~
조경쪽에서 교량에 대해 쓴 논문이 있는걸로 알고 있거든요~
한양대 환경대학원 조경과 학생이 쓴 논문이고, 아마 올해 논문발표한 걸로
알고 있으니, 알아서 잘 찾아 보세요~ ^^ - 조경학적인 교량설계에 관한 자료요청
비공개l2002.04.03>조경학도로써 조경의 영역을 좀 더 넓게 보기위해서 >우리가 접근하기 힘든 조경이 도입 된 교량설계를 >학교 2002년 작품전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하지만 접근하는 방법에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이렇게 부탁드립니다. 교량공학이란 책이 있습죠. 교량이란 놈은 정말 재밌습니다. 저도 도로교 3span bridge를 설계해 봤는데... 교량이란 놈은 미관상 아름다울수록 유용성과 공사비 절감에도 도움이 되는 놈입죠. 경간이 길수고 span이 얇을 수록 미관상 아름답고 교각공사비가 줄어 공기와 공사비를 아낄수 있게 되었죠. 과거에는 시공능력보다는 설계능력이 없어 불가능했지만요. 이제는 sap2000,Gt-struct..등을 이용해 설계하므로 크리티칼한 상황에서 시뮬레이션 까지 가능하므로 장대교량의 설계가 가능해 졌지요... 세계적인 망신거리중 하나는 아치교량을 만들고 싶어 일반 교량에 아치를 매달은 교량도 있지요.. 성산대교... 정말 수치스러운 일입니다. 저도 조경에서 의뢰한 목교를 설계하다 이쪽까지 왔지만... 옛고궁에 있는 석교(하부아치)의 경우는 석재의 성격(압축에강하고 휨에약한특징)을 잘살린 예술품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조경하는 사람돌 목교정도는 설계할줄 알아야 하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