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도서

조경설계 축척에 관한 건데요

비공개l2009.01.29l2966
조경공사에서...수목이식을 경우에 운반비, 상, 하차...수량을 구할려고 하는데요.. EX) 근원 25 (R25) 일때.. 품명 규격 수량 운반비 8톤트럭 0.142 상,하차비 크레인30톤 0.119 근원 20 (R20) 일때.. 품명 규격 수량 운반비 8톤트럭 0.074 상,하차비 크레인30톤 0.131 도대체 저 수량은 어떻게 나오는것인지.. 또 어떤 수식으로 정리 되는것인지요
참고URLl
키워드l
  •  조경설계 축척에 관한 건데요
    비공개l2013.08.29
    먼저 '축척'이라는 용어를 잘 못 이해하고 계신 듯 합니다. 질문의 요지를 보니, 수목을 규격별로 상,하차, 운반함에 있어서 일위대가(산출근거양식)를 구하는 근거를 물어 보신 듯 합니다. 먼저 조경설계기준에 보면 수목의 규격별 단위중량을 구하는 공식부분을 보시구요. 아마 해당규격별로 운반장비(트럭)에 적재량이 표로 정리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상하차 인부 등의 소요 수량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상하차 장비는 보통 현장에서 크레인(트럭크레인)이나, 백호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주당 몇 시간이 투입되는가에 대한 수량을 구하면 됩니다. 그러나, 건설기계경비를 산출하는 이 부분이 조경을 전공한 사람들이 토목전공자들에 비해 비교적 취약한 부분이 아닌가 싶은데요. 표준품셈에 의해 근거를 가지고 단위수량산출서를 만들고, 나름 현장조건 판단에 대한 주관(양호, 불량, 보통 또는 특수한 현황 등을 고려) 을 가지고, 수목 1주에 대한 기계경비의 투입량을 결정하면 되겠습니다. 건설기계경비도 조금 알고 보면, 결국 몇시간이 투입되느냐의 수량을 산출하여 금액을 반영하는 사칙연산에 지나지 않습니다. 제 실무경험상 위 공정에 대한 일위대가(단가산출)는 설계자마다 조금씩 다르더군요. 감독관의 해석도 천차만별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는 조경의 공종이 토목의 공종처럼 통계화하기 어려운 소량, 다공종, 복합적 성격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위에서 말씀드린 자료를 검색하셔서 보시고, 건설공사표준품셈 내용 중 백호우, 크레인, 트럭 등의 기계경비 산출부문을 면밀히 대입해 보시면 해석하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질문하기
질문하기

가장많이본게시물

인포21C 제휴정보

  • 입찰
  • 낙찰
  • 특별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