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
조동길
(동아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주요경력 :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대표, 국립한경대학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환경부 도시생물다양성 포럼 위원
최종학위 :
서울대학교 박사
기술자격 :
자연환경관리기술사
주요저서 :
생물다양성 보전과 환경정책(2011, 이관규 공저), 생태복원 계획·설계론(2011), 자연환경·생태복원학원론(2004, 김귀곤 공저)
학습내용
- 과정소개
- 생태복원 실무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 지식을 학습하여 바람직한 생태복원 사업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생태복원을 위한 전체 과정을 이해함으로써 복원 효과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현재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환경부, 산림청 등의 생태복원 관련 사업(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자연마당 사업, 생태축 복원 사업 등)의 추진을 위한 방법론을 터득할 수 있다. 아울러 자연생태복원기사나 자연환경관리기술사 등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학습목표
- 생태복원 사업이 매우 다양해지고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현 추세를 고려하여, 생태복원 실무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할 교육생들에게 생태복원의 이론과 계획 및 설계, 시공 방법을 이해하고, 주요 복원 소재를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생태복원 사업의 실무 추진이 가능토록 한다.
- 수료기준
- 강의의 100%를 학습하면 수료한 것으로 한다.
- 특징 및 장점
- 생태복원에 대한 이론뿐만 아니라 사례를 통한 실무지식도 얻을 수 있어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하며 학교 교육과 실무의 괴리를 좁힐 수 있다.
- 학습대상
- 공무원, 학교 졸업생, 초·중급기술자
강의 커리큘럼
- 1차시
- 생태복원 개념과 필요성
- 2차시
- 생태복원의 특징과 패러다임의 변화
- 3차시
- 생태복원 관련 법, 제도
- 4차시
- 생태복원 전망과 과제
- 5차시
- 기초생태학 이론
- 6차시
- 보전생태학과 경관생태학
- 7차시
- 습지, 산림과 하천 생태
- 8차시
- 복원생태학, 생태복원 과정과 접근 방법
- 9차시
- 조사 및 분석, 평가와 환경변화 예측
- 10차시
- 생태복원 구상 및 부문별 계획
- 11차시
- 인천 서구 자연마당 설계사례
- 12차시
- 장항 습지 생태탐방로 설계사례
- 13차시
- 생태복원 시공 방법론
- 14차시
- 지형 및 수환경 복원 사례
- 15차시
- 식생 복원 사례
- 16차시
- 야생동물 서식처 복원 사례
- 17차시
- 대체 서식처 복원 사례
- 18차시
- 생태통로와 폐도로 복원 사례
- 19차시
- 복원 후 평가와 유지 및 관리 방향
- 20차시
- 생태기반환경, 생물상, 시설물 관리
- 21차시
- 생태복원 소재의 특성
- 22차시
- 육상식물 소재
- 23차시
- 습지식물 소재
- 24차시
- 서식지 조성 및 비생물 소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