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시선] K엑스포 유치 실패가 2033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에 주는 교훈

글_김귀곤 논설위원(서울대 명예교수)
라펜트l기사입력2024-01-26

 

K엑스포 유치 실패가
2033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유치에 주는 교훈




_김귀곤 서울대 명예교수
 


두바이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 참석, 유엔관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위해 개발하고 있는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량 계정 체계에 관한 발표를 마치고 귀국했다. 화석 연료에 관한 당사국간 협상 등 많은 아쉬움을 남긴 총회였지만 비국가 기후 활동 세력(non-state actor)의 입장에서 보면 많은 성과가 있었다.

이번 총회는 아시아에서의 개최 순서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의 개최를 위해 여러 도시가 유치를 준비했던 행사이기도 하다. 우리 정부는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아랍에미리트 연합국(UAE)의 엑스포 지원 약속을 받고 유치의 추진을 포기했던 것으로 알려졌었다. 2020 엑스포와 COP28이라는 2개의 두바이 메가 이벤트를 보고 있는 우리의 상황은 어떠한가?

기후변화회의는 2033년에 다시 아시아에서 개최된다. 두바이 총회장을 찾은 2개의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를 현지에서 만날 수 있었다. 벌써부터 유치 활동을 시작한 것이다. 더 이상의 참패는 없어야겠다. 이번 유치의 성공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존의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자. 물적 인프라와 함께 소프트웨어의 힘으로 차별화 할 필요가 있다. 두바이 엑스포의 테라 지속가능성 행사 관(pavilion) 등 많은 인프라는 기존의 엑스포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국제적 시사성과 현실성을 담은 홍보가 필요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CNN을 통해 대대적으로 “탄소 중립을 넘어, 탄소 마이너스 리야드”라는 현실적 이슈를 슬로건으로 내 걸었다.

셋째, 선진국과 개도국의 수준과 역할을 고려한 국제 사회에의 공여와 협력을 제시하자. 이번 두바이 회의에서는 섬나라 원주민들의 생활 양식 전환을 통한 탄소 상쇄권의 거래 등 탄소재정에 많은 참석자들이 관심을 보였다.

두바이 현장의 열기는 뜨거웠다. 지하철을 타고 구름같이 몰려드는 수만 명(BBC 보도: 90,000명 이상)의 참석자들을 보면서 부럽기까지 했다. 과학에 바탕을 둔 기후친화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이번 회의에는 200여 국가로부터 정부와 민간 기관, 기업과 학계, 민간 단체들이 참석했다. 두바이 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의제의 당사국간 협상뿐만 아니라, 수소 기반 도시, 분산에너지 정책, 디지털 혁신과 융합, 생태 모빌리티, 바이오 및 헬스케어, 청정 에너지 기술 등 우수 녹색 혁신 기술의 전시와 발표회 그리고 상담회가 열렸다. 기후변화총회는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회원 국가간 지속적인 소통과 정보 공유는 물론, 초격차 기후 산업경쟁력 확보 전략과 기후 관련 R&D 투자 방향을 제시하는 회의이기도 하다. 두바이 2020 엑스포 시설과 디지털 소프트 파워를 활용한 회의장 인프라는 많은 비국가 활동 단체를 유치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제사회가 우리나라에 기대하는 수준과 역할에 부응하고 한국 기후 과학과 기술, 그리고 기후 친화 산업의 미래를 위해 2033 총회가 우리나라에서 개최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지혜와 힘을 모아 노력해 나아 가야겠다.
글_김귀곤 · 서울대
다른기사 보기
kwigon@snu.ac.kr

기획특집·연재기사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