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주요뉴스

“스마트도시, ‘그린’을 화학적으로 융합한 기술들이 신..
급변하는 사회에 발맞춰 모든 분야가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4차산업으로 대변되는 신기술과의 접목, 그리고 홍수와 폭염, 코로나19 등 피부로 겪고 있는 환경문제, 국가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당면한 과제인 기후..라펜트2021-07-16
학교탐방┃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정보공학과
학교탐방┃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정보공학과김의명 교수(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정보공학과)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정보공학과 소개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정보공학과는 2009년에 신설돼, 2014년 국토교통..라펜트2015-09-08
동국대 조경학과 이영경교수, 대통령 표창 수상
이영경 동국대 조경학과 교수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이영경 교수가 지난 2일 세종시 시민체육관에서 열린 제41회 자연보호 헌장 선포기념식에서 자연보호유공자로 선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이영경 교..라펜트2019-10-06
학교탐방┃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학교탐방┃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백태경 교수(동의대학교 대학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주임교수)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소개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는 융복합과정으로 도시공학전공과 토목공..라펜트2015-09-17
중부대 원격대학원 정원문화산업학과, “정원에 디지털 ..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정원문화산업학과 김복영, 박은영 교수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정원문화산업학과가 2022년 2학기부터 새로운 교과과정으로 개편한다. 물리적 공간을 조성하는 이를테면 정원의 하드웨어와 정..라펜트2022-06-24
“모든 외부 공간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 조경의 매력”
‘제6회 천안시 도시디자인 공모전’ 대상에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김수현·이다원 학생의 ‘메모리얼 천안(MEMORIAL Cheonan)’이 선정됐다.‘새로운 천안 미래 도시를 위한 디자인’이라는 주제 아래 대상작은..라펜트2022-04-11
중부대 대학원, 우리나라 최초의 ‘정원학 박사’ 배출한다
박은영·김복영 중부대 대학원 정원(문화산업)학과 교수우리나라 최초의 ‘정원학 박사’가 배출된다.‘제2차 정원진흥기본계획(2021~2025)’ 수립을 통해 정원관광, 여가 활성화 등 삶의 질을 향상하고 생활환경의 녹..라펜트2022-11-18
과학적 체계적 산림관리를 목표로 연구··˝자연 환경 데..
이지훈 영남대 대학원 조경학과 연구원 날로 늘어나는 데이터의 홍수 속에 데이터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고 활용하는 일은 어떤 분야건 간에 커다란 연구성과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한 연구가 사업적 가치로 연결..라펜트2022-03-21
“추상적 경험을 언어화 하는 과정에서 공간에 대한 가치..
‘2023 라펜트 대학생 조경답사기 공모전’에 서예람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학생의 ‘마포문화비축기지, 건축인가 공원인가?’이 대상을 수상했다.서예람 학생은 답사기에 대해 “스스로 떠나는 답사에서는 본인이 ..라펜트2023-08-02
“공간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2023 라펜트 대학생 조경답사기 공모전’에 서민정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학생의 ‘뉴욕에서 만난 조경’이 우수상을 수상했다.서민정 학생은 답사기에 대해 “공간을 대하는 나의 가치관에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비교..라펜트2023-07-28
김준현 “조경 인식 제고 위해 노력할 것”
김준현 미시건주립대(MSU) 교수가 미국조경교육협회(Council of Educators in Landscape Architecture, CELA)의 회장 임기를 지난 22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1920년에 설립된 CELA는 미국의 모든 조경학과를 포함..라펜트2024-04-04
1 2 3 4 5 6 7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