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대 미만 노후주택 정비사업, 건축허가로 가능해

‘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한국건설신문l이오주은 기자l기사입력2014-06-07
국토교통부는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 규모 완화’ ▷‘수도권 민간택지 내 주택에 대한 전매행위 제한 기간 완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주택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6월 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은 ‘2014년도 국토교통부 업무보고’(2.19) 및 ‘주택 임대차시장 선진화방안’(2.26) 후속조치의 일환이며, 지난 3월 입법예고(3.21~5.1)된 바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택건설 사업계획승인 규모 완화= 사업계획승인 기본 기준을 단독주택은 30호, 공동주택(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포함)은 30세대 이상으로 완화했다. 최근 가구원수 감소, 소형평형 위주 공급으로 개발밀도 등의 부담이 감소한 점을 감안한 조치이다.

현재 단독주택은 20호, 공동주택은 20세대 이상(다세대, 연립주택은 30세대)을 건설하는 경우 건축허가 이외에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주거환경개선 및 주거환경관리 사업을 시행하기 위한 정비구역 내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경우에는 50세대 이상인 경우에만 사업계획승인 기준을 완화했다.

‘주택 임대차시장 선진화방안’(2.26)의 일환으로, 노후 단독ㆍ다세대 주택 등이 밀집한 지역의 원활한 정비를 통한 임대주택의 공급 확대를 위해, 해당 정비구역은 정비사업을 통해 정비기반시설(도로, 주차장 등)이 설치가 되는 점을 감안한 것이다.

또한, 2~3인 거주가 가능한 주택의 공급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6m 이상 폭 등 일정의 도로 요건을 갖춘 단지형 도시형주택(30~85㎡)을 건설하는 경우에도 사업계획 승인기준을 50세대 이상으로 완화했다. 
 
한, 개별 필지로 구분하지 않고 적정규모 블록을 하나의 개발단위로 해 공급되는 블록형 단독주택지에 건설되는 단독주택, 한옥의 경우, 수요자가 유사해 맞춤형 공급(수요자 우선 또는 분할 모집)의 필요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 일련의 주택건설기준 및 분양절차를 준수하지 않아도 되도록 50세대 이상으로 사업계획 승인기준을 완화했다.

◇수도권 민간택지 내 주택 전매제한 기간 완화= 수도권 민간택지의 주택 전매제한 기간을 현행 ‘1년 → 6개월’로 완화했다.

그동안 투기방지 등을 위해 수도권 민간택지 내 주택의 경우 1년간 전매행위를 제한해 왔으나, 최근 시세차익에 따른 투기우려가 없는 시장상황과 지방의 경우 전매제한이 이미 폐지(’08.9)된 점 등을 고려한 조치이다.

이번 전매제한 기간 완화 개정 내용은 개정 이후 새로이 분양되는 주택뿐만 아니라 개정 이전에 분양된 주택도 적용됨에 따라, 약 5만 5천 세대(’13.6월 이후~’14.6월 공포일 이전에 분양된 주택)가 전매제한기간 완화 규정을 바로 적용받을 수 있게 된다.

국토부는 이번 주택법 시행령 개정으로 주택수요 변화에 따른 다양하고 탄력적인 주택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주택공급 및 거래 여건도 한층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으며, 앞으로도 주택건설ㆍ공급 부문의 불합리하거나 과도한 규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_ 이오주은 기자  ·  한국건설신문
다른기사 보기
yoje@conslove.co.kr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