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재생기구 설치, 4년동안 1조 투자
서울시 100년, 미래 도시주거재생 비전 제시서울시가 서울의 100년을 준비하기 위한 미래 도시주거재생 비전을 26일(수) 발표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서울형 재생기구' 설치와 '1조원 규모의 재원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낙후지역 개선에 초점이 맞춰졌던 뉴타운ㆍ재개발을 넘어, 물리적 정비와 주변 지역의 사회ㆍ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연계한 통합적 개념의 도시주거재생을 통해 100년 후에도 서울의 정체성이 유지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것이 미래 비전의 기본 방향이다.
시는 우선 개발ㆍ정비 위주의 각 분야별 기존 시 조직도 도시재생이라는 추진 목표가 일관되게 실현될 수 있도록 '서울형 재생기구'로 전환 설치한다. 재생기구는 계획ㆍ관리ㆍ시행을 총괄하고, 타 분야와의 유기적 연계역할을 통해 통합재생을 실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민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재생지원센터를 활용해 민간과 공공의 협력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그동안의 뉴타운ㆍ재개발이 점적인 구역별 사업추진 방식이었다면 이번부터 생활권 단위 주거지를 종합적으로 정비한다. 앞으로는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일자리, 지역자원을 활용한 정체성 보전 등의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폭넓은 개념의 주거지 관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시는 도시주거재생을 위해 4개년 동안 1조원 규모의 재원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원은 △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와 공동이용시설 확충 등을 통한 낙후지역 정비, △성곽마을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곳의 보전, △전통시장 관리와 경제 활성화에 지원된다.
재원은 주택사업도시개발ㆍ교통사업 특별회계 및 일반회계와 국고보조금을 통해 확보할 예정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낙후된 지역을 정비하여 지역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각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서울다운 도시재생을 이루며, 통합재생을 실현하는 것이 서울시의 도시주거재생 비전"이라고 전했다.
- 글 _ 뉴미디어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lafen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