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비장애 모두가 즐기는 ‘무장애통합놀이터’ 개장
설계사 조경작업소 울, 시공사 오성조경산업(주), 시설물 (주)스페이스톡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16-01-14

장애가 있는 아이들과 장애가 없는 아이들 모두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무장애통합놀이터 '꿈틀꿈틀 놀이터'가 13일(수) 서울어린이대공원에 문을 열었다.
무장애통합놀이터 '꿈틀꿈틀 놀이터'는 2,800㎡ 규모로, 설계사는 조경작업소 울(대표 김연금), 시공사는 오성조경산업(주)(대표 이재명), 시설물 제작은 (주)스페이스톡(대표 정재욱)이 맡았다. 아울러 서울시설공단과 대웅제약, 아름다운재단, 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등이 협력해 조성했다.

이번 놀이터는 어린이대공원 내 시설이 오래된 기존 놀이터를 리모델링한 것으로, 턱이 높아서, 계단이 많아서, 탑승공간이 좁아서 놀이터에 접근조차 쉽지 않아 상대적으로 놀 권리가 박탈되어 왔던 장애아동들도 미끄럼틀, 그네, 회전놀이대 같은 놀이시설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국내 최초로 선보이는 회전 놀이시설은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도 이용할 수 있다. 등받이와 안전벨트가 있는 그네는 몸을 가누지 못하는 중증장애 아동도 이용할 수 있고, 바구니 모양으로 된 그네에선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여럿이 함께 탈 수 있다.
무장애통합놀이터는 휠체어를 탄 채로 이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가 설치됐다는 점에서 기존 '무장애 놀이터'와는 차별화되며,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전용 놀이터'와도 다르다.

'아이의 꿈을 담은 틀'과 '모든 어린이가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놀 수 있는 놀이터'라는 의미를 가진 '꿈틀꿈틀 놀이터'는 약 1년에 걸쳐 △장애아동의 놀이행태 관찰‧분석, △세미나 개최, △독일 등 해외 놀이터 사례조사 등을 통해 장애아동, 부모, 특수교사 등 다양한 의견을 디자인에 반영한 '참여 디자인'을 바탕으로 설계됐다.
서울시설공단은 '꿈틀꿈틀 놀이터' 같은 무장애통합놀이터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민관협업으로 놀이터 이용 프로그램 개발‧운영하고, 장애아동의 놀 권리에 대한 인식 확대를 위해 캠페인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이강오 서울어린이대공원장은 "어서 따뜻한 봄이 와서 장애·비장애 어린이들이 서울어린이대공원 '꿈틀꿈틀 놀이터'에서 함께 어울려 노는 모습을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어린이들이 맘껏 상상하고 신나게 놀 수 있는 콘텐츠들로 서울어린이대공원 곳곳을 채워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