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 국립공원, 지역경제 활성화″

부산의 진산, 금정산 보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과제의 모색
라펜트l정세빈l기사입력2016-09-20

지속가능발전 워크숍 토론회

"금정산 국립공원화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것"

녹색도시 21과 (사)부산그린트러스트 주최로 지난 9일(금)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부산의 진산, 금정산 보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과제의 모색 주제로 '지속가능발전 워크숍'이 개최됐다.

부산광역시는 지난 2007년 도립공원 지정 후 국립공원으로까지 확대하는 계획으로 2013년 금정산 국립공원화 논의를 본격화했다. 그러나 어느 쪽도 주도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금정산 공원과 맞닿은 양산시의 반대로 무산됐다.

토론에서는 시민들과 의견조율을 위한 논의가 뜨거운 쟁점이 됐다.

허탁 금정산지킴이단 단장은 “금정산의 산성에는 1,000명이 거주하는 금성동이 있다. 국립공원화과정을 통해 주민들에게 가시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지 검토하고, 문화마을 선정 등 금정산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드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승업 한국자연공원협회 이사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관이나 자연적인 요소를 가진 장소를 지칭한다며,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주민들의 우려와 달리 큰 이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생태적·도시적 관점에서 국립공원화가 이뤄질 금정산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최수형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부산을 대표하는 도시숲이자 개발과 보전의 격전지였던 금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되새겨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사무처장은 “생물다양성, 외래종 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국립공원 지정은 시민들의 합의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담당 부서인 환경부를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며, "가칭 'I love 금정산 운동'으로 관리비용을 확보할 수 있는 마스터 플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경업 부산광역시 산림녹지과장은 “토지소유자나 지역주민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민-관이 함께 진행하도록 할 것이다"라며, "부산광역시는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에 대해 과학적,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 환경부와 주민을 설득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여운상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 김동필 부산대학교 교수

이날 행사에서는 '건강한 금정산 관리와 국립공원'을 주제로 여운상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발제에 나섰다.

여운상 선임연구원은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지역경제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동남권 지역의 생물다양성과 문화자원 보전가능, 국립공원 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해소 등 이점이 생길 것"이라며, "과거의 보존 중심의 국립공원을 넘어 도시주변의 이용 중심 국립공원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사항이 몇 가지 있다. 

우선 타 국립공원에 비해 규모가 작고, 사유지의 비율이 70%를 차지하며, 관리부실로 생태 및 경관자원이 부족하다. 또한, 재산가치 하락과 사유재산권 침해, 상권의 변동 등을 우려하는 지역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부산발전연구원은 △규모가 작다-월출산의 면적이 더 작음, △사유지의 비율 높음-사유지의 비율과 국립공원 지정은 무관. 토지 매수 청구 가능, △생태자원의 부족-생물다양성이 높고 동남권에만 서식하는 생물종이 서식함, △경관자원의 부족- 발굴과 홍보 필요 등의 의견을 밝혔다.

여운상 선임연구원은 “인근 해안의 경관을 포함하는 구역까지 규모를 늘리고 국립공원으로 지정 될 경우 공원시설, 상업시설, 숙박시설, 문화시설 등이 설치 가능한 이점을 주민들에게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외 국립공원 지정 사례와 금정산국립공원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김동필 부산대학교 교수가 발표했다.
 
김동필 교수는 “미국이 군사적 요충지였던 곳을 지정하고, 대만이 국가적 지위 차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지정한 것처럼 다양한 유형의 자연공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등산보호단체협의회가 무등산 지정에 큰 도움을 주고, 무등산 국제심포지엄을 다수 개최되었던 것처럼 금정산도 전문 관리팀과 자원의 발굴, 보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부산 시민공원과 경주 국립공원을 사례로 국립공원 지정은 부동산가격 상승가능과 공원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워크숍에서는 △주민참여와 설득, △체계적인 장기 계획 마련, △전문가로 구성된 관리팀 구성(통합관리체계), △해안을 포함하여 국립공원 지정 면적 확대 등이 주된 안건으로 채택됐다.


지속가능발전 워크숍
글·사진 _ 정세빈  ·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다른기사 보기
serena6750@naver.com

네티즌 공감 (0)

의견쓰기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종합일반
  • 동정일정
  • 교육문화예술

인기통합정보

  • 기획연재
  • 설계공모프로젝트
  • 인터뷰취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