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보험, 기후위기를 묻다
경영학자와 조경학자가 말하는 기후변화와 리스크 관리라펜트l전지은 기자l기사입력2022-07-07

남상욱, 이동근 저│발행일 2022년 5월 5일
344쪽│ 정가 24,000│출판사 보문당
미국 캘리포니아의 데스밸리Death Valley의 기온이 무려 54.4°C까지 올라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뜨거운 사하라 사막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때 아닌 폭설이 내리는 등 이상 기후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 모 두가 기후변화가 초래한 재앙의 전조이다.
이동근 조경학자(現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와 남상욱 경영학자(現 서원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교수)가 공동 저술한 ‘보험, 기후위기를 묻다’는 그간의 기후변화 양상과 점점 커지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우리가 받게 될 영향과 파장을 살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후변화가 촉발하는 자연재해의 유형과 우리가 받는 충격을 살펴보고,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국은 어떻게 자연재해 리스크에 대응하는지를 정리해 보험시스템을 통해 자연재해 관리의 효과와 한계를 살필 수 있는 장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기후변화가 보험업에 얼마나 심각한 영향과 위기를 미칠 것인지를 함께 짚어보고, 과연 앞선 보험회사들은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기후위기를 바라보고, 또 준비하고 있는지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상세히 다뤘다. 이를 통해 우리가 그간 생각지 못한 것은 무엇이고, 선진사는 어떤 것을 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대책과 대처 방안을 제시해 앞으로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기후리스크 관리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목차
제1부 기후변화 양상과 불확실성1장 기후변화 양상과 진화2장 기후위기와 글로벌 쟁점[칼럼] 기후 위기, 선제적 기후변화 적응이 답이다3장 한국의 기후변화 평가와 발전방향[칼럼] 지켜야 할 국립공원의 자연생태계[칼럼] ‘벌채’논란 번진 산림청 탄소중립 전략, 학계 얘기 들어보니4장 기후위기의 확장과 불학실성[칼럼] ①“혼다ㆍ테슬라 키운 건 환경규제, 대비 없인 생존 못해”제2부 기후위기의 영향과 파장5장 기후위기와 재난 재해6장 기후위기가 인류 삶에 미칠 파장[칼럼] ②“기후변화 피해자 청년층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제3부 기후변화에 따른 보험업의 위기와 대응7장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빈발과 보험제도[칼럼] 커피가 사라진다네요8장 기후변화가 몰고 올 보험업의 위기[칼럼] 사계절의 한반도9장 기후위기에 대한 선진 보험회사 대응[칼럼] 포용적 녹색 회복과 ESG 워싱제4부 기후위기 적응을 위한 리스크 관리10장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대책[칼럼] 기후변화 적응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그린인프라를 통한 해결책 제안11장 리스크 관리와 의사결정[칼럼]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지역 맞춤형 적응계획 의사결정부록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서
- 글 _ 전지은 기자 · 라펜트
-
다른기사 보기
jj870904@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