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조경학회 바로가기l
조경계뉴스

Academic News

국내외 학계소식

CELA 2019 방문후기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조경의 내부적 연결과 시스템 통합의 필요성

유영서
산림과학원 연구원

지난 2019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제99회 CELA(Council of Educators in Landscape Architecture); 미국 조경 교육가 학회가 있었다. UC Davis에서 주최한 이번 학회는 “Engaged scholarship” 이라는 주제 아래 관련 연구자들과 관계자들의 성과 발표가 있었다. 4일간 진행된 이번 학회에서는 12개 분과에서 총 451편의 구두발표와 포스터발표가 있었다.

올해 CELA에서는 조경 내부에서의 다각적인 협력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조경 교육-연구-설계-지역사회 부문 간 연결과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 노력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Rutgers University의 Tim K. Eatman 교수는 미국 사회에서 저명한 교육-사회학자로, “Structures and Shadows of Knowledge Creation: Beware of Shrinking Imagination”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다. 그는 미국 고등교육에서 흑인과 여성이 겪던 불평등의 사례와 개선 과정을 언급하며, 지식의 진보와 불평등 문제 해소를 위한 최선의 방식으로 고등교육이 “Engaged Scholarship”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어서 조경 및 도시 내부 분야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론으로의 전환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CELA 2019 환영인사(좌) 및 기조연설(우)
4일간의 학회에서는 총 12개 부문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Pedagogy, Research by Design, Engaged Scholarship, History&Theory&Culture, Design Implementation, Landscape performance,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y, People and Environment, Research Methods, Sustainability, Urban Design, Film Track)에서 다양한 연구 주제 발표가 있었다. 생태계 서비스 평가,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도시환경 기능성 평가, 도시환경의 건강적 효용성, Engaged Scholarship과 관련된 교육론 등의 주제 발표가 이어졌고,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 축적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오픈소스 자료를 활용한 연구들과, IoT 센서를 활용한 연구들이 눈에 띄었다. 설계 발표와 관련해서는, 온도나 강우량에 따라 색깔과 형태가 변화하는 조형물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즉각적인 기후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시설물에 대한 설계안이 인상적이었다. 그 외 녹지 불평등, 기후변화 대응 전략에 대한 환경계획들 또한 흥미로웠다.

해마다 CELA에는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많은 한국인 교수들과 대학원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올해에는 공주대학교 김진기, 김무한 교수, 서울대학교 이동근, 배정한, 김세훈 교수, 성균관대학교 최혜영 교수의 발표가 있었고, 미국에서는 Michigan State University의 김준현 교수, 박종훈 박사, Texas A&M University의 이차남 교수, Texas Tech University의 박소현 교수, University of Kentucky의 구자영 교수, University of Connecticut의 이성민 교수, University of Oregon의 고예강 교수와 이준학 박사, Utah State university의 박근현 교수와 그밖에 국내·외 대학원생들의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CELA는 단순히 학술 발표를 넘어 많은 소통과 정보들이 오가는 국제적인 네트워크형성을 위한 기회의 자리였다.

CELA 2019가 열렸던 Grand Sheraton Hotel의 현장
한국에서의 학회가 주로 학생들의 발표가 주류를 이루는 반면, CELA에서는 많은 교수들이 직접 발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던 것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목요일 오전에 찾았던 ‘Landscape Planning and Ecology’ 분과 발표장에는 발표자를 포함하여 25명 내외의 사람들이 있었는데, 필자 외 모두가 교수임을 나타내는 명찰을 하고 있었고, 각 발표마다 적극적으로 임하며 날카로운 질문을 쏟아냈던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중국과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최근 임용된 신임 교수들이 자신의 연구를 어필하고, 네트워크를 넓히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교육자가 중심이 되어 교육과정과 방향을 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CELA를 단순히 “미국 조경 교육가 학회”라고 하기에는 그 규모와 명성이 아쉽게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CELA는 효과적인 조경 교육 커리큘럼 조성을 위해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교육가, 연구자 및 관련 전문가가 모이는 세계적인 학회이다. CELA는 미국 조경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치는 ASLA(America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를 비롯한 여러 조경 관련 협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교육적 측면에서 제 역할을 다하며 유의미한 정책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적인 협의체 구성은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현대의 사회·환경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특히, 환경과 사회를 동시에 입체적으로 다루는 조경 분야에서는 더더욱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조경 내·외부에서 긴밀히 연계되는 하나의 통합 시스템 구축을 바탕으로 하나의 목소리를 통해 시의성 있는 정책적 제안까지 발전시키는 큰 그림은 우리 사회에 긍정적인 결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내년, 2020년에 CELA는 창회 제100주년을 맞이한다. 한국의 연구자들과 학생들도 내년에 열리는 CELA에 참가하여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국제적인 교류를 통해 한국 조경계의 위상을 드높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한다. ♣

RnD

R&D 신기술 소개

도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경의 역할
- 저류형 옥상 녹화 기술 -

제상우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소장

최근 우리나라는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로 도시 홍수 발생과 그 피해를 실감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중심인 강남역과 광화문 일대 침수 현상이 나타나며 이에 대한 경각심이 고취되고 여름철 집중 호우를 포함해 전에 없던 국지성 호우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 일환으로 건설, 토목 및 조경 분야에서 저영향개발(LID) 기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제약 조건이 적은 신도시를 위주로 논의되는 실정이다. 구도심은 이미 많은 인프라가 집적되어 있어 대규모 공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상지 선정부터 쉽지 않다.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 증가로 자연침투 및 유출량 저하
도시 홍수 피해(예)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시 내 건물 옥상은 도시 홍수 대응을 위한 빗물 관리 장소로써 효율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 그 동안 조경 분야에서는 건물 옥상을 대부분 일반적인 녹화의 공간으로 활용해 왔으나 블루루프(Blue Roof)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이를 접목한 기능적 녹화 공간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생태면적률 제도에서 저류·침투시설 연계면 항목에서 저류옥상을 가점의 대상으로 인정해주고 있기도 하다. 강우 시 건물의 옥상은 도로와 보도가 있는 불투수층인 지표면으로 바로 떨어지는 빗물의 양을 분산시키는 장소로써, 이곳에서 받아내는 적지 않은 빗물의 양을 저류시켜 유출 지연을 시킬 수 있다면 하수관거의 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고안된 기술이 당사의 저류형 옥상녹화 조성을 위한 G-rain 블록이다.

해당 기술은 옥상 녹화에 활용하는 플랜터형 저류박스로, 강우 시 상부의 토양에서 1차적으로 빗물을 흡수하고 포화된 빗물이 모듈 하부에 저장이 되며 하부 저류부에서 최대 약 67ℓ/㎡를 저류해 빗물의 유출 지연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블록 및 플랜터형 옥상 녹화 제품군과는 다르게 녹화 공간과 별도로 저류 공간을 두어 많은 양의 빗물을 저류할 수 있게 하고 높은 유출 지연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저류 공간은 비워지게 되므로 시차를 둔 연속 강우에도 대응이 된다. 게다가 기저 저류된 빗물은 심지를 통해 상부의 토양에 지속적으로 흡수되며 토양 건조를 방지하고 식물의 생육을 돕는 기작을 펼친다.

G-rain 블록 이미지
G-rain 블록의 단면 개념도
서초구 방배동 OOO빌딩 옥상 조성 사례
인공강우기를 활용한 Lab 단위 실험 결과 약 83%의 첨두유출 지연율을 나타냈으며, 옥외 폭로장치를 이용한 실외 실험에서도 82%의 지연율을 보이며 빗물 유출 지연을 통한 도시 홍수 대응형 기술임을 증명했다.

인공강우기를 활용한 첨두유출 지연율 실험 결과
본 기술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과제명: 도시생태계 복원을 위한 빗물침투 및 유출지연 기술개발)으로 2년여 기간에 걸쳐 수행된 연구 과제의 결과이다. 도시의 건전한 물 순환과 수문 환경의 회복을 주요 가치로 두고 소규모의 분산형 빗물관리 방식의 일환으로 최종 도출된 것이다. 이는 기존의 옥상 녹화가 가지는 도시 내에서의 환경·생태·경제·문화적 역할과 더불어 또 하나의 중요한 환경 문제에 대면하는 특성을 보유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덧붙여서 저류형 옥상녹화를 통한 녹지 면적의 확대는 최근의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응 전략이기도 하다. 식물과 토양, 습도는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생태적인 측면에서 도시 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 전략은 또 다른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기술이기 보다 생태적 순환, 에너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다면적 기능을 하는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렇다면 저류형 옥상 녹화 기술은 도시 홍수부터 미세먼지까지 다양한 도시 환경 문제를 순수하게 풀어나가기 위한 힌트가 될 수 있지 않을까. ♣

News

라펜트 주요뉴스녹색문화예술포털, 라펜트 뉴스(www.lafent.com)

‘미세먼지’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의 환경 복원 필요

2019년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성료

지난 12일(금) 2019년 (사)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의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와 이동근 한국기후변화학회 회장의 ‘생태복원을 통한 미세먼지 대응’을 주제로 한 특별강연이 개최됐다. 강연에서 이 교수는 시민들이 가장 체감하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와 조절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술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전했으며, 시민단체, 지역주민들과 공유하고 직접 설계에 참여시키는 시민참여형 리빙랩을 제안했다. 특히 미세먼지, 열섬 등의 문제를 한꺼번에 저감할 수 있는 강수 유출량을 종합해 보고, 물 순환까지 이어지는 등의 복합적인 생태복원과 그에 따른 기술이 요구되며, 환경부의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교수의 생각이다. 이 교수는 “실제 미세먼지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 농도와 국민들의 인식 차이는 다를 수 있다.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생태계보전협력금은 자연생태 훼손지역만 대상으로 했다. 이제는 미세먼지, 도시열섬, 물순환 등 전반적인 환경문제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생태복원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라펜트 기사 자세히보기

빌레나무, 실내 미세먼지 20% 저감효과…보급 확대키로

정부, 시범사업 초등학교에서 어린이집으로 확대

제주산 빌레나무가 보급된 교실의 미세먼지(PM2.5) 농도가 20% 저감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보급 시범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충북대학교 연구진과 지난 2017년 10월부터 1년 5개월간 실험챔버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환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자생식물을 탐색하는 연구를 추진해왔다.
그 결과 빌레나무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등의 농도를 저감하는데 우수한 효과(무처리구 대비 평균 20%)를 보였으며 습도는 무처리구 대비 40%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라펜트 기사 자세히보기

한국조경학회, ‘미세먼지 국민 아이디어 R&D ’ 사업 선정

6개 과제 중 2개 과제 선정 쾌거

(사)한국조경학회(회장 이상석)가 한국입엄진흥원(원장 구길본)에서 공모한 ‘2019년도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중 ‘미세먼지 국민 아이디어 R&D’ 사업에 지난 1일 선정됐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국민 아이디어 R&D 사업’은 국민 아이디어에 기반해 산림·도시숲·식물을 활용한 실내·외 맞춤형 미세먼지 저감 기술개발 및 실증 연구를 수행하는 사업이다. 사업은 총 6개 과제로 학회는 ▲도시 공간 유형별 미세먼지 저감 모델 개발 및 실증 연구와 ▲도심 내 뉴-그린 공간 식재모델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에 응모했으며 응모한 두 과제 모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 연구사업은 한국조경학회와 조경회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했다.

학회는 “생활권 주변에서 식물을 활용한 다양한 조경기법을 통해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국민들에게 조경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라펜트 기사 자세히보기

미집행도시공원, ‘재난관리기금’으로 조성방안 제시

정부, 도시공원일몰제 ‘뾰족한 수 없어’

도시공원일몰제에 의한 공원 해제를 1년 4개월 앞두고 있는 지금, 미세먼지 대응책의 일환으로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공원조성방안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최희선 KE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실장은 ‘미세먼지특별법’에 의해 지자체는 미세먼지가 심한 지역을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우선 지원사항으로 ‘수목식재 및 공원조성’이 있다. 지난 13일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개정안이 국무회의 의결되면서 미세먼지가 ‘사회재난’에 포함됨에 따라 동법 제67조에 의해 지자체가 매년 지방세의 1%를 적립하도록 되어 있는 재난관리기금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것이다.

최희선 실장은 “재난관리기금은 지자체에 따라 다르지만 광역의 경우 어느 정도 예산규모가 있기 때문에 집중관리구역을 지정하고 그 안에 있는 미집행도시공원에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해 공원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세먼지 저감 대책으로서의 공원과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라펜트 기사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