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벚나무의 병충해
벚나무에는 여러종류의 진딧물 피해가 심하여 신초의 생장정지, 조기낙엽, 잎마른, 잎개방저해 등의 피해가 나타난다. 이로인해 조경수나 가로수로의 가치가 상실되고 수세쇠약으로 화아분화가 저해되어 꽃도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953
벚나무응애, 흰불나방, 텐트나방
벚나무는 약해가 심하므로 살비제를 사용할 때 반드시 시험적으로 뿌려보고 약해유무를 조사한 후 살포하여야 한다. 벚나무응애의 구제효과 살충시험 성적이 현재로는 없으므로 약해 및 살충시험이 요구되고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벚나무의 해충
벚나무는 핵과류에 속하는 나무로서 왕벚나무, 산벚나무, 겹벚나무, 능수벚나무,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귀롱나무, 매화나무 등의 병충해와 거의 같은 피해를 받고 있으며 병충해 피해가 심한 수종..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650
조경수의 보호관리
일반적으로 조경에 있어 그 주위에 배나무 과수원 식재를 주의하여야 하며, 배나무 과수원을 만들고자 할 때는 그 주위에 대량 향나무 식재지를 고려하여 과수원을 조성하여야 한다.그러나 향나무녹병의 생활..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549
향나무의 병충해 방제
측백나무 하늘소 피해상황: 측백나무 하늘소는 우리나라의 향나무류, 측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전국에 분포, 식재된 향나무에 많은 피해를 주어 향나무를 고사시키거나 굵은 가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448
녹지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소나무 병해로는 소나무 피목지고병, 잎 녹병, 끄름병, 뿌리썩음병, 리지나 뿌리 썩음병 등이 있다. ※ 키워드 : 소나무 병해 ※ 페이지 : p81-85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소나무 엽진병_소나무의 잎떨림병이라고도 하는 소나무의 대표적인 병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되고 있다. 피해를 받으면 바로 고사되는 것이 아니라 수세가 극도로 쇠약해지고 죽은 가지가 많이 생기며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246
나무좀류, 바구미류
-소나무좀 소나무좀의 피해증상은 2가지가 있다. 첫째 수간을 가해하여 나무를 고사시키는 1차피해, 둘째 잘 자라는 신초를 가해하여 신초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져 적갈색으로 변하여 나무에 붙어 있는 2차피해..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145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3
솔잎깍지벌레 피해상황 _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나 산림수종에는 큰 피해를 주고 있지 않으며 조경수목에는 때때로 큰 피해를 준다. 특히 조경수의 소나무에는 상당한 피해를 주며, 적송, 해송, 방크스소나..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943
조경수 보호관리 ; 산성토양의 피해
최근 대기오염에 의한 아황산 가스와 산성우의 영향으로 토양이 산성화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나 공단지역 주변의 산림토양은 산성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조경수목이나 산림 수목의 피해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742
조경수의 보호관리 ; 대기오염의 피해
최근 아황산가스 피해와 더불어 산성우의 피해, 토양 산성화의 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토양의 산성화는 수목의 무기양료 흡수에 막대한 지장을 주어 수세 쇠약, 잎의 갈변 또는 회갈변, 조기낙엽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541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 쇠조임 설치의 필요성
쇠조임을 브레이스라고 하는데 이는 죄다, 묶다, 당기다, 버티다 라는 뜻으로 수목외과수술의 한 부분이며 수목의 생체보호에 중요한 작업이다. 수목의 부러짐, 갈라짐, 찢어짐, 늘어짐 들의 피해를 예방하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340
조경수의 효울적 보호관리
천연기념수, 지방기념수, 보호수, 노거수, 대형조경수 등 우리는 오랜 역사를 지닌 거목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들 거목은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면 조경수목으로도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편 식물분류학,..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139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2
소나무재선충은 1988년 10월 부산직할시에서 임업연구원 수목병리과로 소나무 고사원인을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 소나무재선충의 피해로 확인되므로써 우리나라에도 재선충이 침입되었다는 것이 판정되었다. 피..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1138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1
현재까지 발표된 소나무의 병충해는 해충이 160여종이고 병해가 30여종에 이르고 있다. 이들중 우리나라에는 솔잎혹파리, 솔껍질 깍지벌레,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하여 많은 소나무를 고사시키고 있다. ※ 키워..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937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