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임승빈' 검색 결과 21 건
- 조경태동기의 조경학과 교과과정
- 우리나라에는 1973년 조경학과가 최초로 설립되었다. 학사과정으로는 영남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 석사과정으로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 설립되었는데 이때는 미국의 교과과정을 많이 ..
임승빈/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3월43호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부 오픈스페이스 설계 기본 방향 구상
- - 전문가 디자인 샤렛 -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거대한 공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한 가운데에 용산미군기지, 서울숲,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을 모두 합한 것보다 더 큰 면적의 오픈스페이스가 조성될 전망이..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1월223호
- 무위조경(無爲造景)-빼기 조경
-
최근 조경분야에서 크고 작은 설계공모전이 많아지면서 과잉설계 논란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당선되기 위하여는 심사위원의 눈길을 끌어야 되므로 과장된 표현과 과도한 설계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 심사..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년11월247호
- 도시ㆍ자연 경관계획의 현황과 전망
- 최근 경관계획이 활성화되면서 경관계획의 범위, 내용, 수행절차 등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뚜렷한 방향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여기서는 우리나라에서의 도시경관..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4년2월190호
- 디자이너시대의 조경가 역할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년7월243호
- 조경가의 전문성은 인정받고 있는가
-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하려는 시점에 즈음하여, 경제적 논리에만 집착함을 지양하고 전체 국민의 복지향상의 차원에서 국토건설을 하고자 한다면 정부 및 관련 건설분야에서 조경분야를 바라보는 인식이 과..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5월61호
- 지금 우리는 지구환경을 살리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_ 제주도개발..
- 제주도개발특별법의 조례(안)이 금년중 제주도의회를 통과하면 경관영향평가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는 경관영향평가제도의 내용과 이 제도의 전국적 확대 실시가능성 및 제도의 도..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7월63호
- 한국조경의 현주소 ; 한국조경의 전망
- 종합하여 보건대 조경분야가 90년대 더 나아가서 2000년대 이후에도 계속 발전할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헤쳐나가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음은 사실이다. 앞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인접분..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86년3월12호
- 덕수궁 간 경희궁
- 경희궁과 덕수궁 사이 신문로 일대는 구한말 외국공사관들이 위치했던 자리이며 따라서 타의에 의하여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구한말 역사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러한 ..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5월49호
- 거리의 문화재 ; 도시경관과 문화재보호
- 현대 도시의 문화재는 팽창, 거대화되어 가는 도시적 상황하에서 상대적, 절대적이니 왜소화 및 이질화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단편적이기는 하나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고, 도시의 발전과 더불어 도시..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84년2월5호
- 환경복지와 조경가의 사회참여
- 환경조경나눔연구원 창립의 의미
우리나라의 일인당 국민소득이 이만불을 넘기면서 복지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었고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거치면서 국민복지가 정치적 쟁점화 되어 복지의 확대는 ..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13년4월300호
- 한국형 조경학 인증모델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년5월241호
- 새로운 조경세상-창의創意조경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년1월237호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환경과조경>
- 아래의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7년7월231호
- 조경 폴리틱스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2008년3월239호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