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심우경' 검색 결과 12 건
- 조경식재 교육 들여다보기
- 조경식재는 조경식물학과 조경식재 설계로 나눌 수 있는데, 두 분야를 한 사람이 가르치기란 쉽지가 않다. 즉 조경식물학을 전공한 사람은 설계하기가 어렵고, 설계하는 사람이 식물학을 충실히 공부하기란 여..
심우경/계간 조경생태시공/2009년3월53호
- Landscape Art와 Landscape Architecture의 혼동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환골탈태가 요구되는 조경계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2003년8월184호
- 위대한 조경가 옴스테드의 역정
- 호사다마의 역정
동생 존이 사망한 뒤 부인 메리는 세명의자녀를 하트포드에서 혼자 키우다가 옴스테드 사무실 가까운 맨하탄으로 옮겨오게 된다. 옴스테드는 자기와 가장 절친했던 동생의 부인이 혼자 조카..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학교조경 -학교조경의 의의와 필요성
- 현행 건축법에는 학교건축도 일반건축과 동일하게 ‘대지안의 조경’이 적용되어 조경면적이 대지면적의 15%에 ㎡당 교목 0.2주, 관목 1주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학교환경의 중요성에 비추어 너무 경직된 법..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9년3월131호
- 전통문화속에 담긴 조경 ; 전승놀이터의 특징
- 놀이는 주로 아름다운 산천에서 행해졌으며 고정된 시설이 있었던 것이 아니고 빈터(마당)만 있으면 철에 따라서 남녀노소가 따로 혹은 함께 놀았던 것이다. 특히 개인놀이보다 단체놀이가 많았기 때문에 이 ..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7년9월113호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조경가의 직업윤리
- 21세기는 ‘환경의 세기’라고들 목소리를 높이고 있듯이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며 이 세기의 실천으로 지구를 가꾸는 전문가는 조경가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막중한 임무..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7년7월111호
- 전통조경과 현대조경의 현주소 ; 조경식재의 비과학성
- 현행 우리나라 조경식재의 가장 큰 문제점은 조경계획 설계가가 조경식물을 잘 알지 못하고 식물명만 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전문성 결여의 결과가 나타나고 시각적인 조잡함은 물론 평균 20%의 하자가 발생되..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3년8월64호
- 생태적 조경설계를 통한 조경관리
- 조경에서 관리는 계획,설계부터 충분히 검토되고 반영되어 설계의 의도가 최소한 설계목표년도까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총체적 접근인 생태적 조경을 함으로써 관리비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93년2월58호
- 좌담 ; 조경, 오늘의 좌표와 내일의 전망
- 내년부터 지방자치체가 실시되면 조경에 있어서도 관주도에서 민간주도 건설체제로 전환될 것임을 고려할 때 향후 조경계의 앞날은 상당히 긍정적이 되리라 생각된다.학교에서의 조경교육이란 너무 설계위주이..
김귀곤, 김학범, 성석호, 심우경, 이수길, 송상택/월간 환경과조경/1989년1월27호
- 생태적 조경의 의미와 가치
- 조경의 목적과 가치를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자연환경, 종교, 국민성, 그리고 시대사조에 따라 달라지겠으나,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자연스런 환경을 만드는데 있다고 볼수 있겠다. 여기에 예술성과..
심우경/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1월26호
- 국내의 레저타운 ; 관광 레저타운의 그 실태와 전망
- 김사헌 자연경관은 우리 세대만을 위한 경관이 아니라 다음 세대, 그리 다음 세대가 두고두고 감상할 미래의 유산이다. 김용엽 레저타운 건설과정이나 운영관리를 위한 인근주민의 고용효과도 지..
김사헌, 김용엽, 양병이, 김민수, 한현구, 안종윤, 허형식, 최상대, 권상준, 고성하, 심우경, 황기원, 김영빈, 이석래, 이재우, 신우균/월간 환경과조경/1983년10월4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