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4)-지상좌담: 새로운 ..
To the Era of the New Landscape Architecture 요즘 경제가 정말 안 좋긴 한가보다. 모두들 만나기만 하면 불경기 이야기다. 조경분야도 마찬가지다, 일이 없다, 돈이 안돈다, 먹고 살 일이 막막..
정종일/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4)-지상좌담: 우리의 ..
For the Future of Our 격세지감이라고 할까? 참으로 긴 터널을 빠져 나온 것 같은 느낌이다. 월간 <환경과조경> 창립 30주년이라…영겁으로 보면 찰나조차 되지 않는 보잘 것 없는 시간이겠..
차대현/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4)-지상좌담: 조경회고전망
Retrospect and Prospects of Landscape Architecture 현실 1. 풍요에서 빈곤으로…내가 졸업했던 1980년대 중반기에는 지금보다 더 심각한 취업난이 있었다. 중동 특수라는 분위기에 휩싸여 외화벌이를 하러 ..
김태경/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4)-지상좌담: 조경은 ..
Landscape Architecture is Based on Green welfare and  Green Services “이제 조경은 단순히 단어적 의미인 ‘조경(造景)’, 즉 경관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도시의..
김인호/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실내조경

/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세종시 중앙녹지공간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1
The Master Plan and Schematic Desig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한때는 이슈처럼 다루어지기도 했지만 어느새 5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난 오래된..
노선주/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연세대학교 백양로 재창조 프로젝트
Yonsei University Baegyang-ro Renovation Project 연세대의 상징공간인 백양로는 그동안 보행자와 차량의 혼재로 불편을 야기하고 안전상의 위협이 계속 제기되어 왔으며, 토지이용에 효율성이 ..
/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비샨-앙 모 키오 공원 내 칼랑강
Kallang River at Bishan-Ang Mo Kio Park싱가포르의 중심부에 위치한 비샨공원은 연간 3백만 명 이상의 이용객이 방문하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공원 중의 하나이다. 공원 개선의 절대적인..
손석범/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라이프@랏프라오 18 콘도미니엄 정원
Life@ladprao 18 Condominium Garden프론트 가든이 프로젝트는 방콕에 있는 전형적인 번화가 랏프라오(Ladprao) 거리에 위치한 정원프로젝트이다. 프론트 가든은 주거타워 앞에서 길에 접해있으면서..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서울국제금융센터
IFC SeoulIFC Seoul은 서울시와 AIG코리아부동산개발이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로, 여의도를 동북아의 금융허브로 만드는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며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 지난 8월 문..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조경과 생태계서비스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system Service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인해 우리들은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서울에서 잘 자라고 있는 이팝나무와 배..
오충현/월간 환경과조경/201211295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서울정원 기본계획현상공모
2013년 4월 20일부터 6개월 동안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전라남도 순천에서 개최된다. 다양한 테마로 세계각지의 정원을 볼 수 있는 이번 정원박람회에는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특색을 고스란히 표현하..
/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조경교류’ 활발
한중 조경교류 20주년 기념 심포지엄 & 한중일 국제조경전문가 회의한국, 중국, 일본. 서로 인접해 있는 동북아시아의 3개국은 예로부터 끊임없이 왕래하며 정치, 문화, 경제 등 다방면에 걸..
강상원, 공어진, 김수환, 채승우/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제8차 환태평양 커뮤니티디자인 네트워크 국제컨퍼..
함께 만들어가는 아름다운 공간 이야기 함께 모여 ‘참여’를 이야기하다 ‘동네사람’이라는 말은 예부터 같은 물을 쓰면서 가까이에 사는 ‘공동체’를 이르던 말이다. 같은 공간에 산다는 것이 그만..
강진솔/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환경과조경> 2012 북경국제도서전 참가
한국의 조경서적, 대륙의 땅 밟다 한·중 교류의 물꼬 튼 ‘북경국제도서전올해는 한국과 중국이 수교를 맺고 교류를 시작한지 20년이 되는 해이다. 1992년 수교 이후 경제, 학술, 문화, 스포츠 등 ..
이형주/월간 환경과조경/201210294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