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임승빈' 검색 결과 21 건
- 지금 우리는 지구환경을 살리기 위해 한 목소리를 내야한다_ 제주도개발..
- 제주도개발특별법의 조례(안)이 금년중 제주도의회를 통과하면 경관영향평가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는 경관영향평가제도의 내용과 이 제도의 전국적 확대 실시가능성 및 제도의 도..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7월63호
- 조경가의 전문성은 인정받고 있는가
-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하려는 시점에 즈음하여, 경제적 논리에만 집착함을 지양하고 전체 국민의 복지향상의 차원에서 국토건설을 하고자 한다면 정부 및 관련 건설분야에서 조경분야를 바라보는 인식이 과..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3년5월61호
- 덕수궁 간 경희궁
- 경희궁과 덕수궁 사이 신문로 일대는 구한말 외국공사관들이 위치했던 자리이며 따라서 타의에 의하여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지 않을 수 없었던 구한말 역사의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러한 ..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2년5월49호
- 인문생태조경 ; 한국에서의 인간생태학적 접근의 적용과 전망
- 인간생태학적 접근은 여러 가지 접근방법중의 하나 임에는 틀림없지만 오늘의 한국의 조경가들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연생태적 환경의 철저한 분석과 해석, 인간의 가치와 환경적응 ..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90년9월37호
- 한국조경의 현주소 ; 한국조경의 전망
- 종합하여 보건대 조경분야가 90년대 더 나아가서 2000년대 이후에도 계속 발전할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헤쳐나가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음은 사실이다. 앞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인접분..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86년3월12호
- 거리의 문화재 ; 도시경관과 문화재보호
- 현대 도시의 문화재는 팽창, 거대화되어 가는 도시적 상황하에서 상대적, 절대적이니 왜소화 및 이질화 현상을 겪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단편적이기는 하나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고, 도시의 발전과 더불어 도시..
임승빈/월간 환경과조경/1984년2월5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