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 벚나무의 병충해
- 벚나무에는 여러종류의 진딧물 피해가 심하여 신초의 생장정지, 조기낙엽, 잎마른, 잎개방저해 등의 피해가 나타난다. 이로인해 조경수나 가로수로의 가치가 상실되고 수세쇠약으로 화아분화가 저해되어 꽃도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벚나무응애, 흰불나방, 텐트나방
- 벚나무는 약해가 심하므로 살비제를 사용할 때 반드시 시험적으로 뿌려보고 약해유무를 조사한 후 살포하여야 한다. 벚나무응애의 구제효과 살충시험 성적이 현재로는 없으므로 약해 및 살충시험이 요구되고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7월51호
- 벚나무의 해충
- 벚나무는 핵과류에 속하는 나무로서 왕벚나무, 산벚나무, 겹벚나무, 능수벚나무,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귀롱나무, 매화나무 등의 병충해와 거의 같은 피해를 받고 있으며 병충해 피해가 심한 수종..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6월50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일반적으로 조경에 있어 그 주위에 배나무 과수원 식재를 주의하여야 하며, 배나무 과수원을 만들고자 할 때는 그 주위에 대량 향나무 식재지를 고려하여 과수원을 조성하여야 한다.그러나 향나무녹병의 생활..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5월49호
- 향나무의 병충해 방제
- 측백나무 하늘소 피해상황: 측백나무 하늘소는 우리나라의 향나무류, 측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전국에 분포, 식재된 향나무에 많은 피해를 주어 향나무를 고사시키거나 굵은 가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4월48호
- 녹지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 소나무 병해로는 소나무 피목지고병, 잎 녹병, 끄름병, 뿌리썩음병, 리지나 뿌리 썩음병 등이 있다. ※ 키워드 : 소나무 병해 ※ 페이지 : p81-85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 소나무 엽진병_소나무의 잎떨림병이라고도 하는 소나무의 대표적인 병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되고 있다. 피해를 받으면 바로 고사되는 것이 아니라 수세가 극도로 쇠약해지고 죽은 가지가 많이 생기며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2월46호
- 나무좀류, 바구미류
- -소나무좀 소나무좀의 피해증상은 2가지가 있다. 첫째 수간을 가해하여 나무를 고사시키는 1차피해, 둘째 잘 자라는 신초를 가해하여 신초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져 적갈색으로 변하여 나무에 붙어 있는 2차피해..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월45호
-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3
- 솔잎깍지벌레 피해상황 _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나 산림수종에는 큰 피해를 주고 있지 않으며 조경수목에는 때때로 큰 피해를 준다. 특히 조경수의 소나무에는 상당한 피해를 주며, 적송, 해송, 방크스소나..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년9월43호
- 조경수 보호관리 ; 산성토양의 피해
- 최근 대기오염에 의한 아황산 가스와 산성우의 영향으로 토양이 산성화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나 공단지역 주변의 산림토양은 산성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조경수목이나 산림 수목의 피해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년7월42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대기오염의 피해
- 최근 아황산가스 피해와 더불어 산성우의 피해, 토양 산성화의 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토양의 산성화는 수목의 무기양료 흡수에 막대한 지장을 주어 수세 쇠약, 잎의 갈변 또는 회갈변, 조기낙엽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 쇠조임 설치의 필요성
- 쇠조임을 브레이스라고 하는데 이는 죄다, 묶다, 당기다, 버티다 라는 뜻으로 수목외과수술의 한 부분이며 수목의 생체보호에 중요한 작업이다. 수목의 부러짐, 갈라짐, 찢어짐, 늘어짐 들의 피해를 예방하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
- 조경수의 효울적 보호관리
- 천연기념수, 지방기념수, 보호수, 노거수, 대형조경수 등 우리는 오랜 역사를 지닌 거목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들 거목은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면 조경수목으로도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편 식물분류학,..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월39호
-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2
- 소나무재선충은 1988년 10월 부산직할시에서 임업연구원 수목병리과로 소나무 고사원인을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 소나무재선충의 피해로 확인되므로써 우리나라에도 재선충이 침입되었다는 것이 판정되었다. 피..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년11월38호
-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1
- 현재까지 발표된 소나무의 병충해는 해충이 160여종이고 병해가 30여종에 이르고 있다. 이들중 우리나라에는 솔잎혹파리, 솔껍질 깍지벌레,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하여 많은 소나무를 고사시키고 있다. ※ 키워..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년9월3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