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편집부' 검색 결과 581 건
(주)일심개발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328
주택가에 연한 녹지
「사람은 환경의 산물이다」라는 말이 있다. 물론 인간의 성장에 대해서 교육의 영향이 상당히 중요하지만 환경의 영향도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람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보고, 생각하고, 배우..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328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라이프 타운 조성계획/금상
도심의 오피스 빌딩군에 옥외 휴식광간을 조성하여 오피스 빌딩의 근무자들에게 휴식과 만남등 옥외문화의 새로운 이즘을 창조하여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활력을 주고 도시경관의 질 개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아름다운 정원 ; 지형을 본뜬 주택정원
 성북동의 높은 대지위에 자리한 이 주택은 대문에서부터 많은 계단을 거쳐 주정에 이르게 된다. 주정에 이르는 계단부의 천정은 유리로 처리하여 옥내공간으로 유도하였고 대문의 천정과 주정은 같은 레..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서울법원청사동산조경계획
법원청사내 휴게 및 복지시설이 절대부족하므로, 체육, 휴식기능의 장소를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절개사면 및 옹벽이 과다 노출되어 법면이 붕괴될 우려가 있고 경관상 좋지 못하므로 경관성을 제고시켜 법원청..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수원 중앙문화공원 설계/동상
자동차 소음, 하천의 오염, 불결한 도시미관, 상반된 행위의 상층성으로 내버려진 2만평 남짓의 땅위에 한국 전통문화의 바탕위에서 수원시 지역성을 고려한 문화 공원을 시도하였다. 효원 성곽도시의 사대문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서교동 가로공원설계/대상
우리나라 도시 공간에 맞는 보행자위주의 공간을 마련하는 일환으로서 가로공원의 유형의 개념을 정립 분류하고 그 적용 대상지로서 서교동의 가로를 선택하여 개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가로공원 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모양성 사적지 조경계획/동상
전통의 보전과 개발이라는 두 측면이 상충되는 현대사회에서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는 사적지라는 귀중한 그릇이 깨어져가는 과정과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사적 사건과 모양성의 관계를 토지이용사도를 통..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가로시설물/동상
해를 거듭할수록 도시에서의 비중이 더욱 커지는 도로에 있어 필수적인 가로 시설물의 중요성에 대해 다가오는 미래의 거리를 보다 아름답고 편리하게 꾸며보고자 하는데서 시도한 작품이다. 도로의 무질서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대구역 시민회관 보행공간 계획안/은상
현 대구역 전면광장과 인접한 대구시민회관 광장을 묶어 복합시민광장으로 조성하되, 기존 현지반은 지하주차장으로 그 상층부를 보행 데크화하여 주변교통 및 주타난 해소와 동시에 도심의 협소한 보행전용공..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영남대학교 박물관 주변 조경설계/은상
본 설계는 대학박물관 신축공간을 중심으로 한 조경기본설계이며, 대학 캠퍼스 공간과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대학공간의 일부로서 기능을 다하고 더불어 역사 민속교육경관이 어울어진 창조적 대학공간으로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Forward the good with us/동상
서울시 동부권의 중요기능을 담당해야 할 전략적 요충지임에도 불구하고 현 청량리역 지구는 난잡한 토지이용과 상호연결성이 결여된 계획으로 인해 그 파행성은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우리는 여기에 토지이..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삶, 죽음 그리고 그후/금상
본 계획은 공원묘지 조성계획으로 공원묘지가 인간생활에서 소외된 공간 및 일부 이용자에게 한정 이용되는 것을 종교별 묘역구분, 가족묘의 도입, 녹지면적의 증대, 묘역면적의 축소를 지향하여 공원묘지의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대학캠퍼스는 건물이 그 순서로 보아서 제일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겠으나,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이들 건물사이에서 건물들을 기능적으로 그리고 시각적으로 연결해주고 그 내부까지 침투되는 오픈스페이..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제5회 한국조경작품전 수상작 ; 가락 소공원 조경설계/은상
도시개발후 방치된 소규모 경사지를 훼손된 지형과 기존 수목을 보호하면서 레벨차를 이용한 휴게공간을 확보하고, 가로소음완화 및 식별성을 높이기 위한 수경시설과 집약적인 조경시설물을 설치하여 가로변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9127
31 32 33 34 35 36 37 38 39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