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박경자' 검색 결과 41 건
- 담장
- 담장과 울타리는 인간이 거주지를 정하고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을 때부터 적의 방어를 위하여 또는 외부와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만들기 시작하였을 것이다. 담장은 그 방어적인 기능과 경계표시를 위한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문
- 문을 만들 때는 본채와의 조형적으로 재료적으로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했다. 또한 위치 선정이나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많은 고려를 하였다. 문의 종류로는 홍살문과 정여문, 열녀문도 있는데 홍살문은 능원..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7월75호
- 전통공간의 보도포장
- 대부분의 전통공간의 보도는 마사토 포장을 한다. 마사토 포장은 인공적 구조물 대신에 자연을 직접 접촉하게 하는 좋은 포장 기법이기는 하지만 내구성이나 평탄성, 방진에는 그 기능이 떨어진다. 마사토 포..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년7월111호
- 우물
- 우물 샘은 우리의 생명수를 얻는 곳이다. 이 우물과 샘을 가장 정갈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의 선조들은 어떠한 수법을 사용했을까. 다행히 옛 기록들이나 유구들이 더러 남아있고 특히 신라시대의 우물에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6월74호
- 북해 공원 -중국 북경의 호수가 있는 공원
- 작년 한 해 동안 중국 북경에 머물면서 시작한 첫 작업이 북경의 호수가 있는 공원을 답사하며 조사하는 일이었다.
북경의 지도를 입수해서 살펴보니 도면의 에서 볼 수 있듯이 북경시가 근대 도시로 변화 발..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2002년9월173호
- 통일신라의 안압지
- 안압지는 경주시가로부터 동쪽으로 약 1km를 가면 불국사 국도변 좌측 인왕동 월성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1975년부터 1976년까지의 발굴로 안압지의 전모가 맑혀졌으며, 그에 관한 복원사업이 끝나게 되어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85년2월8호
- 중국 북경의 호수가 있는 공원(3)
- - 자죽원(紫竹院) 공원과 도연정(陶然亭) 공원 -
자죽원 공원은 1953년에 만들졌으며, 면적은 47.4경(頃: 1경=2만 여평)으로 북경시 해정구(海淀區) 백석교로(白石橋路) 45호에 위치하고 있다. 자죽원(紫竹..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2003년1월177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경희궁(慶熙宮)은 임진왜란으로 말미암아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등 조선 초기부터 있었던 궁궐들이 소실되자 경운궁(慶雲宮), 즉 지금의 덕수궁과 더불어 새로이 창건한 궁궐이다.
1592년에 일어났던 임진..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2월140호
- 중국 북경의 호수가 있는 공원(4)
- - 옥연담(玉淵潭) 공원, 도연정(陶然亭) 공원, 일단(日壇) 공원-
옥연담(玉淵潭) 공원은 원래 금(金)대부터 북경 서북 교외의 유명한 풍경유람명승지였으며 1960년에 지금의 이름이 정해졌고 면적은 140.79..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2003년2월178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경복궁 배치
본지 ’98년도 8월호부터 11월호까지 경복궁을 18세기 무렵의 실경화와 현재의 모습을 놓고 이야기했는데 그 때 놓친 것이 전체 배치와 부분을 그린 지도라는 생각이 들어 마침 자료를 구할 기회..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0월138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경복궁 향원지
「北闕圖形」(북궐도형)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정신문화원 장서각, 고려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북궐은 경복궁의 별칭으로 조선시대에는 삼대 궁궐이있었는데 북쪽의 경복궁을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11월139호
- 연못 ; 궁궐의 연못
- 조선시대의 궁 중에서 정궁인 경복궁은 조선 건국 직후 창건(1394년) 되었으며, 경복궁 원유중에 연못으로는 경회루와 그 방지, 향원정과 향원지가 있다. 경회루 방지는 조선왕궁 원지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6년10월102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 창경궁(昌慶宮)이 창건된 것은 조선조 제9대 성종 때로 고려시대의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터에 새로이 궁궐을 세웠다. 그러나 창경궁은 임진왜란때 전소되어 광해군 때에 다시 재건되었고, 이후로도 여러 차..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6월134호
- 연못 ; 관아의 연못
- 옛 관공서의 건물을 관아라 말하는데 관아의 뜰에는 누각과 연못이 있어서 조경공간의 중심이 되어왔다.
충청남도 공주에는 사적 제12호인 공산성이 있는데 이곳은 백제가 서울을 한성에서 웅진으로 옮긴 후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년3월107호
- 18세기 실경화와 조경(12)
- -명정전의 동향
창경궁의 건물배치에 있어서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정전(正殿)이 동향을 하고 있다는 점과 정전 및 내전 주요 전각의 대부분이 서로 정확하게 일직선상에 놓이거나 직교하지 않고 조금씩 틀어..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9년7월13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