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박지현' 검색 결과 25 건
제 16회 올해의 조경인 _ 산업분야: 한현구|올해의 조경인
살아있는 조경의 역사한현구 회장의 아버지인 故한태현은 임업시험장에 있다가 산림양묘를 했었다. 당시는 주로 연료로 나무를 사용하여 산들이 벌거숭이가 되었고, 이런 곳에 산림양묘 붐이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12308
<환경과조경> 제29기 통신원 하계엠티
기장 선출 등으로 본격적 활동 시작8월 10일부터 1박 2일간, ‘<환경과조경> 29기 통신원 하계엠티’가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에 위치한 너울펜션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엠티는 29기 통..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9305
국가도시공원 전국 민관네트워크
발족식과 기념포럼을 기점으로 확대 지난 6월 26일, (사)한국조경학회(회장 김한배)와 전국시도공원녹지협의회(회장 최현실)는 ‘국가도시공원 전국 민관네트워크 발족식과 기념포럼’을 광주광역시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8304
삼성에버랜드(주) E&A 디자인그룹 디자인렉처
아드리안 구즈, 도시조경의 새로운 지평은? 지난 7월 4일 삼성생명에서 개최된 삼성에버랜드(주) E&A 디자인그룹 디자인렉처에 특별한 강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용산공원 설계 국제공모전의 당..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8304
2013 부산 조경․정원박람회
비전을 제시하는 부산 최초 조경산업 종합전시회 지난 6월 5일부터 8일까지 부산 BEXCO에서 ‘2013 부산 조경·정원박람회(landscape & garden show BUSAN 2013)’가 4일간의 열전을 마쳤다. 이번..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
도시, 정원을 꿈꾸다지난 5월 23일, ‘2013 경기정원문화대상’의 시상식이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에서 개최되었다. 이곳은 이번 공모의 대상을 수상한 장기영 씨의 ‘자연과 함께 하는 정원’이 자리한 ..
박지현 /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
2013 아라문화축제
조경이 만드는 문화콘텐츠, 지속가능한 아라뱃길을 만들다서울과 인천을 잇는 국내 최초 운하인 경인아라뱃길에는 뱃길수변의 녹지를 따라 크고 작은 오픈스페이스가 18㎞에 걸쳐 길게 이어져 있는..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7303
2013고양국제꽃박람회
정원과 꽃향기, 시민 곁으로 다가서다 지난 4월 27일부터 5월 12일까지 고양시 일산 호수공원에서 ‘2013고양국제꽃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꽃박람회에는 해외 30개국 120개 업체, 국내 190개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6302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시공일지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드디어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최초로 열리는 국제정원박람회가 어떤 과정을 거쳐 착수하게 되었으며, 개장까지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각각의 정원에는 어떤 공법이 사용되었는지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5301
『LA CHINA』 주최, 중국 조경가 내한
선유도공원, 서서울호수공원 등 한국의 조경 답사 분야를 막론하고 이제 중국은 거대한 시장임에 틀림없다. 또한 지난해에는 한국과 중국의 조경교류 20주년을 맞이하여 보다 실질적인 협력의 방법..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5301
도시농업, 이대로 괜찮은가?
서울특별시가 얼마 전 ‘Agro-City 서울’을 비전으로 하여 2020년까지 서울시민 가구당 3.3㎡의 텃밭을 조성, 도시농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시농업 붐이 일다 급기야 우리나라의 수도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푸른도시 만들기 워크숍
서울시 공원녹지 미래상에 시민의견 수렴 지난 3월 11일, 오후 2시가 되자 서울시청에는 수많은 인파가 모이기 시작했다. 이유는 바로 서울시 공원녹지의 미래상을 수립하기 위한 “푸른도시 만들기..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4300
Part 3. 목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천연목 기술개발과 신소재
Technology and New Materials of Natural Wood 천연목의 세상은 지났다고 누가 그러던가. 특유의 자연스러운 느낌, 질감, 향 등 갖고 있는 장점과 함께 천연목도 끊임없이 놀라운 기술발전을 이루고 있다. ..
박지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Part 3. 목재산업의 현황과 전망: 합성목재의 진화와 소재
Evolution and Materials of Synthetic Wood ‘진화’. 합성목재들이 말 그대로 진화했다고 볼 수있다. 그전까지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제품과 소재가 흥미롭다. 밤길 안전을 위한 데크부터 대나무를 사용한 ..
박지현/계간 조경생태시공/2013369
초고층과 생태의 공존 초대작가 展
원제무 이정순 양윤재 교수 지난 2월 4일부터 16일까지 삼전동에 위치한 예송미술관에서 ‘초고층과 생태의 공존’이라는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초고층과 생태라는 이질적 존재의 공존을 주제로 한 ..
박지현/월간 환경과조경/20133299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