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유승종' 검색 결과 12 건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9): 마지막 이야기: 우리 ..
- 구조주의자의 변(辯), 다시 생성을 말하자우리는 지금 혼돈의 시대를 살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단순히 미래의 불확실성을 칭하는 또 하나의 레토릭이 아니라 실제로 현재 모든 분야의 시대정신을 ..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1년6월278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8)
- 여덟 번째 이야기: 쓰기 위해 읽는다
설계라는 맥락적 게임당연한 사실이지만 많은 의견의 조정들이 이 안에서 같이 이루어진다. 발주처의 요구 사항도, 프로그램도,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도 모두..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1년4월276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7): 형태 생성의 내재율
- 프로세스 조경디자인에서의 열린 설계(Open-ended design in processed landscape)부유하고 있는 여러 가지 조경이론의 단편들을 양식적 패러다임에 따라 재편하여 크게 아우르자면 그것들은 아마도..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1년2월274호
- Ando Tadao _ 인터뷰: 안도 타다오에게 던지는 질문 7가지
-
Ando Tadao1941년 일본 오사카시에서 태어나 후리츠 죠토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2년부터 1969년까지 세계 각지를 여행하면서 독학으로 건축을 배웠다. 한때는 프로권투선수를 하기도 했으나 세계적..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월273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6): Villa Savoye의 옥상정..
- 빌라 사보아의 옥상정원옥상정원, 조경의 동네에서는 새롭지도 않은 주제인데, 80여 년 전에 지어진 건축가의 옥상정원이라 얼핏 보니 참으로 심심하기 그지없다. 바닥포장의 패턴도 영 허전하기만 ..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0월270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5): Villa Savoye, 채워진 ..
- 영화 똥파리에서 마지막 장면의 쇼트들은 사건의 시간상 흐름과 무관하게, 행복과 슬픔이라는 상반된 ‘속성’이 서로 엇갈려 충돌되도록 교차 편집되었다. 필자는 묻고 싶다. 만일 정상적인 시간의 ..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0년8월268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4): 옥상정원. 채워진것과 ..
- 이론과 실전: 데리다 좀 그만 데려다 놓지?!라 빌레뜨 공원(parc de la villette)으로 촉발된 해체주의의 광풍은 1990년대 말의 건축계를 뜨겁게 달군다. 기존의 구조를 해체한다고 하는 츄미(Berna..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0년4월264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3): 의미는 차이에서 비롯..
- 작품 읽기의 즐거움“저 친구 설계 참 잘해”라고 할 때, ‘잘 한다’는 것은 무엇을 두고 하는 말일까? 손의 감각이 좋은 것만을 칭하는 말은 당연히 아니다. 우리가 막연히 말하는 ‘설계’, 혹은 ‘디자..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10년2월262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2): 요소 분해와 연계성
- 구조주의의 본질은 ‘체계적으로 잘 짜여진 일련의 구조체’로 대상을 보는 관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 언어학이나 인류학 등과 같은 타분야에서는 해석이 쉽지 않은 추상적 대상을 객관적 언어..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2월260호
- 구조로 보는 조경이야기(1): 연재를 시작하며
- 연재에 부치는 글
설계에 있어서 공간이나 형태 구성의 단계는 디자이너의 역량이 최대로 발휘되는 과정이지만, 동시에 대부분의 경우 그것은 디자이너의 내부적 사고체계에서 일어나는 닫힌 구조..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09년10월258호
- 조경이 그리는 버티컬 가든 _ 한국석유공사 신사옥 ..
-
녹색을 걸치면 대접 받는다
친환경의 시대, 일단 녹색을 걸치면 대접을 받는다. 친환경인증이라는 제도가 생겼고, 최근에는 녹색성장이라는 국가적 아젠다까지 더해지면서 그야말로 그린이 키워..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09년8월256호
- INFO-SCAPE
- INFO-SCAPE 공간분석 툴로써의 Infoscape_Biomapping_감정의 흐름에 따라 지도 만들기 번화가를 지나다가 사방에서 들려오는 시끄러운 소음과 음악소리 때문에 느끼는 불쾌감을 다른 사람들도 느끼..
유승종/월간 환경과조경/2008년8월244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