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은행나무 병충해
은행나무의 병충해로는 동고병, 자무늬병, 주머니나방, 가루깍지벌레, 이세리아깍지벌레 등이 있다. ※ 키워드: 은행나무 ※ 페이지 : 128-133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157
조경수의 보호관리(31)(발생병해의 원인과 표조)
병을 일으키는 원인-병을 일으키는 원인중 그 원인이 생물이거나 바이러스일 경우를 병원체라 하고, 이것이 균류인 곰팡이 세균일 때를 병원균이라 한다. 샹물성 원인을 전염성병 또는 기생성병이라고 하며 병..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1078
벚나무응애, 흰불나방, 텐트나방
벚나무는 약해가 심하므로 살비제를 사용할 때 반드시 시험적으로 뿌려보고 약해유무를 조사한 후 살포하여야 한다. 벚나무응애의 구제효과 살충시험 성적이 현재로는 없으므로 약해 및 살충시험이 요구되고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조경수의 보호관리 ; 병충해 상태
병충해의 발생원인과 방제 도시녹지 조경수목의 병충해는 단독 전파로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환경요인과 토양조건에 의하여 많은 수목이 쇠약해지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876
향나무의 병충해 방제
측백나무 하늘소 피해상황: 측백나무 하늘소는 우리나라의 향나무류, 측백나무, 편백나무, 화백나무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전국에 분포, 식재된 향나무에 많은 피해를 주어 향나무를 고사시키거나 굵은 가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448
벚나무의 해충
벚나무는 핵과류에 속하는 나무로서 왕벚나무, 산벚나무, 겹벚나무, 능수벚나무, 복숭아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귀롱나무, 매화나무 등의 병충해와 거의 같은 피해를 받고 있으며 병충해 피해가 심한 수종..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650
조경수 보호관리 ; 산성토양의 피해
최근 대기오염에 의한 아황산 가스와 산성우의 영향으로 토양이 산성화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나 공단지역 주변의 산림토양은 산성화가 가속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조경수목이나 산림 수목의 피해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742
조경수의 보호관리 ; 뿌리기능의 활성화
뿌리기능 약화는 무기양료의 흡수에 지장을 가져와 무기양료의 결핍현상을 일으킨다. 이는 생장장애, 황화현상, 잎왜소, 조기낙엽, 입기형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수목은 잎(탄소동화작용, 호흡작용), 줄기(비..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조경수의 보호관리 ; 대기오염의 피해
최근 아황산가스 피해와 더불어 산성우의 피해, 토양 산성화의 피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데 토양의 산성화는 수목의 무기양료 흡수에 막대한 지장을 주어 수세 쇠약, 잎의 갈변 또는 회갈변, 조기낙엽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541
조경수의 보호관리
소나무류의 병충해 방제 소나무의 경우 이식목이나 쇠약목에 대하여는 소나무좀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3월하순부터 4월중순사이에 스미치온 2백~3백배액과 다이아톤 2백~3백배액을 혼합하여 7~10일 간격..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359
사철나무
우리나라의 정원이나 공원에는 사철나무를 많이 식재하고 있다. 활엽수 중 유일하게 상록수로서 겨울에도 푸른색을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의 경계, 생울타리로 식재한다. 특히 극음수로서 그늘진 곳에서도 잘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독일가문비 잣나무
독일가문비_독일가문비는 조경수로 많이 이용되는 수종으로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식재되고 있다. 일제시대와 해방후 산업이 발달되기전 까지는 도시의 공원이나 정원에서 잘 생장..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모과나무, 배롱나무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3
솔잎깍지벌레 피해상황 _ 전국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나 산림수종에는 큰 피해를 주고 있지 않으며 조경수목에는 때때로 큰 피해를 준다. 특히 조경수의 소나무에는 상당한 피해를 주며, 적송, 해송, 방크스소나..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943
회약목, 쥐똥나무
회양목 조경수목중 상록활엽관목인 회양목은 공원 · 정원의 조성에 있어 아름다운 경관과 미학적인 선의 흐름이 뚜렷하여 정원 · 공원의 경계지에 생울타리로 집단 식재한다. 또한 중생식물로 음지나 양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