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장태현' 검색 결과 37 건
실크로드를 다녀와서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오늘의 중국경제와 전통원림의 진원지 _ 중국 최남단 화남지방의 광동성..
북으로는 훠세산링에 의지하고 남쪽으로는 대해에 닿아 북고남저의 지형을 갖추고 있고 구릉과 평야를 엮고 있는 서장강, 베이징강, 동장강이 모여 들어 주장강을 이루고 있는 곳에 광주시는 자리잡고 있다.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조경관련 신소재 개발실태를 재점검한다 ; 조경 기술개발 및 소재 필요성
설계가가 자기가 구성하는 어느공간 어떤 형태를 착상할 때에는 우선 어떠한 재료를 사용할까? 아울러 그 재료의 사용법 즉, 도구나 공구는 무엇을 사용하여야 하고 그에따라 공법선택 자체를 결정하게 된다.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내일의 상해, 어제의 소, 항
상해의 경우 지난날에는 완전 타의(他意)에 의해 개방된 항구도시로서 우리의 근대사와 비교해서 “상하이”란 애칭의 추억으로 더듬어 보았으나 오늘날에는 중국인 자의(自意)에 의해 개혁되고 있는 변화의 기..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동서 문화교류의 길목 ; 서안(西安)과 돈황(敦滉)
협서성 소재지인 서안시는 관중평원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고 면적은 2,295㎢로서 시내인구 2백 70만명을 포함한 6백만명의 인구가 살고있다. 서안의 옛 이름은 장안으로 오랜 역사를 가진 고도이며 3천여년의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창간 10주년 특별주제 한국조경분야의 어제와 오늘 ; 조경설계의 흐름과 ..
조경분야에 있어 1980년대에는 수요창출을 위한 기술축적 단계로서 올림픽을 전후한 조경문화의 정착과 조경영역의 확대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90년대에는 다가올 2000년대를 향한 도약시기로서 국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2751
북경 옥천 공원(玉泉公園)
계획의 배경2002년 북경시 "만미녹지"(万米綠地 년 일만㎡씩 녹지 확보 시민운동으로, 녹지와 녹지와의 연결 기능을 목적으로 함) 사업에서 완성한 제일 큰 도시 공원이다. 면적은 약 220000㎡로서 ..
류수진, 장태현, 김선/월간 환경과조경/20037183
중국의 도시광장Ⅰ- 대련시(大連市)의 인민(人民), ..
몇 년 전인가 지방 중소도시의 여러 공원들을 둘러본 일이 있었다. 많은 것들을 다시 생각하게되는 계기도 되었지만 그중 새삼스러웠던 것은, 도시의 입지적 여건이나 역사적 배경 그리고 변화의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9161
도시경관과 색채 ; 도시의 색과 환경디자인
도시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고 질적향상을 지향하기 위한 시각적 환경요소는 시민을 매혹할 수 있는 수단이나 장치 또는 도구를 말하게 되는데 우리의 고민은 도시의 이러한 시각 구성 요소들의 전체구성과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2347
중국의 도시광장 2-­북경시(北京市)의 서단광장(西..
도시의 광장하면 유럽의 도시를 연상할 정도로 유럽의 도시에는 크고 작은 광장들이 많다. 특히 이태리나 스페인의 경우, 도시의 구성이 광장으로 이어지듯 오늘날까지도 도시생활의 필수적 요소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11163
우리민족이 숨 쉬는 곳 연변
-길림성의 성도 장춘시 : 인구2백만의 삼림 휴양도시로서 2백여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고 길림성의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으로 방사선형의 광대한 면적에는 각종 공원, 녹지 등이 확보되어 있었으나 사회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1078
변하고 있는 오늘의 북경
40년전에 “공산주의는 사랑이 아니고 오직 적들을 깨부수기 위산 해머다.”라고 모택동은 평했었지만 ‘89년 6.4사태때 인민 해방군은 그들의 적을 잘못 선택하였고 등소평은 옛날의 등소평이 아닌 라오핑(늙은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전국대학 학생조경작품 특선 ; 청주대학교
우리대학의 경우 조경작품전이 11월말로 예정되어 있어서 작품이 모두 출품되지 않은 관계로 전체 작품에 관한 평은 다음기회로 미루고 이번에는 선정된 작품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월악 캠프장’은 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87115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 (3)
발해가 남긴 것들 - 도시와 생활상 - 2000년 6월말 연길시(延吉市) 정부에서의 용역업무도 정리되어 가자 마지막으로 화룡(和龍) 근처의 발해유적을 찾기로 하였다. 이곳을 찾다보면 모아산(帽兒山)고개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5157
중국의 도시광장Ⅲ - 상하이(上海市)의 인민광장(人民廣場)과 외탄광장(外..
지난 여름 중국을 다녀오면서 하루가 다르게 변화·발전하고 있는 그들의 도시 모습에 무엇인가 초조함을 저버릴 수 없었다. 몇년전부터 중국의 변모상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인식들은 하고 있었지만 그동안 게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21165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