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편집부' 검색 결과 581 건
- 살수관개시설 ; 정원의 관개시설
- 일 년에 몇 번씩 정원에 물을 관수해야 하는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영구관개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에는 정원의 편리한 곳에 수도꼭지를 설치하여 호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0년5월35호
- SWA 그룹의 작품
- 여기 소개하는 SWA그룹은 환경설계, 계획문제 등을 전무적으로 다루는 컨설팅업체로서 지난 30년간 미국의 도시와 지역계획에 참여, 많은 실적을 남겼다. 샌프란시스코 해안지역, 남부캘리포니아, 휴스턴, 달..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1월26호
- 청개구리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8년5월45호
- 서울숲 ; 좌담회 : 서울숲이 남긴 것, 21세기 도시공원의 과제는?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5년9월209호
- 제1회 전국 대학(원)생 관광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1월223호
- 조경원예상담
- 잔디 관리하는 방법, 유실수 심는 방법, 단풍나무 구입법, 아파트에서 채소 가꾸는법, 히비스커스 관리하는 방법, 수경재배 하는법 ※ 키워드: 잔디. 유실수, 단풍나무, 채소, 히비스커스, 수경재배※ 페이지 :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4년10월7호
- 이태리 조경 작품전
- 이탈리아에서는 조경이 새롭고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분야였기 때문에 국제적인 전시회를 개최하여 여러 지역에 있는 조경학교간의 기술적인 경쟁을 낳게 하였으며, 주제를 다양하게 하였다. 이러한 생각을 같이..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88년5월23호
-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을 1단계 마무리하..
- 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특별기획은 좁은 국토 속에서도 우리 정서에 맞는 공원이 어떠한 형태로 도출될 수 있으며, 또 한국형이라 명명했을 때 전통공원의 원형을 어떻게 해석해야 되는가에 대해 정리..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3년7월63호
- 영광의 얼굴들에게 듣는다 _ 제37회 조경기술사 최종합격자
- 매년 1번씩 조경분야에는 새로운 기술사들이 배출되고 있다. 지난달에도 제37회 국토개발 조경부문 기술사 수험생들의 열띤 경합 속에서 7명의 기술사가 탄생했다. 조경기술사는 그동안 타분야에 비해 배출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조경직제 ; 인터뷰 : 더 이상 기존 직제로는 안된다(진승범 이사)
- 1. 전주시청 공원과에서 어떤 기회로 일하게 되었는지? 1998년 외환위기(IMF)이후 정부에서 시행한 공무원 구조조정계획에 의해 전국의 지방자치 기초 단체 중 최초로 전주시에서 기존의 인원을 감축하고 공원..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6년11월223호
- 아름다운 정원 ; 여유로움을 만끽하는 정원
- 복잡한 도심생활을 잠시 벗어나 자연과 벗하는 여유를 만끽하기 위해 조성된 이곳은 도심을 약간 벗어난 지역의 산 중턱에 위치한 전원주택이다. 거실을 중심으로 전방의 조망이 개방되어 시우너하면서..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la place berri montreal
- berri 광장이 완성되면 환경조형물로 활기를 띠게 되거나 melvin charley가 설계한 서술적인 경관은 몬트리올의 자연경관 요소와 도시구조간의 대비 역할을 할 것이다. 경사진 잔디에 위치한 작품은 세부분으..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월57호
- 알아보며 즐기는 잎사귀 박물관 외
- 알아보며 즐기는 잎사귀 박물관(타다 타에코 외 지음) _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수목관련 책자들은 전체적인 부분을 두루두루 다루다 보니 잎에 대한 생태·형태적 특성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고 있지 못하다. ..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5년7월15호
- D.A.A.C(Design of Architecture-Aided Computation)
- 건축의 표현수단인 도면과 도면을 그리기 위한 도구들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가운데 이러한 현상은 사회가 설계과정을 시공과정과 분리시키기 위한 필요에 의해서 나타났는가, 아니면 건축도면이 이러한 분리를..
편집부/계간 조경생태시공/2004년5월8호
- 제1회 친환경적 실내공간 디자인 공모전
- (사)실내조경협회에서는 2001년 12월 5일 제1회 친환경적 실내공간 디자인 공모전에 대한 시상식을 진행했다. 대상은 김진주, 장승완(상명대학교), 최우수상은 이지선, 이정애, 정진주, 이지선(삼육..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2002년2월16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