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영두' 검색 결과 54 건
- 조경용 수목 ; 소철, 나한송
- 소철은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노지재배가 가능하다. 그 외 남해도서지방과 남해안의 난대지역에서는 집안이나 양지쪽에서 월동이 되는 곳도 있으나 기타지역에서는 주로 온실이나 실내에서 분에 심어 겨울을 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3월71호
- 생강나무, 당매자 나무
- -생강나무
생강나무는 함경남·북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자생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100~1,600m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과 중국에 분포되어있다. 이 나무는 계곡이나 개천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2월70호
- 후박나무, 홍가시나무, 왕버들
- 후박나무
우리나라에는 경남 · 북 및 전남 · 북의 남해안 지대와 제주도, 울룽도는 물론 남해 도서지방에 자생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700m이하에 분포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에도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월69호
- 조구나무, 사람주나무, 마삭줄
- -조구나무 :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1930년경에 도입되어 주로 남부지방에 식재되고 있다. 특히 가을단풍이 아름다워 공원, 학교원등에 관상수로 식재되어 있으나 그 수는 극히 적은 편이다. 최근에 와서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2월68호
- 때죽나무, 담쟁이 덩굴
-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1월67호
- 붉은병꽃나무, 중국굴피나무
- 전국 각처의 산록이나 암석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200~1,5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중국 및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자생지에서는 주로 삼림의 가장자리에서 군집(群集)을 이루..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0월66호
- 박태기나무, 조팝나무
- -박태기나무
높이 3~5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이며 대부분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한다. 수피는 회백색 또는 회갈색이고 가지는 퍼지지 않고 직립된다. 잎은 호생하고 단엽이며 심장형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황매화 라일락
- 황매화_ 일본 및 중국이 원산이고 우리나라에는 주로 중부이남의 주택정원이나 사찰등지에
관상용으로 식재되어 왔다. 원산지에서는 대부분 산지의 계곡부근이나 또는 비교적 습한 곳에서 자라고 있고 최근에..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8월64호
- 수양버들, 광나무
- 수양버들의 원산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대체로 중국을 원산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먼 옛날에 들어와 전국 각지의 사찰, 마을 주변, 도로변에 많이..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6월62호
- 무환자나무, 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 무환자나무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 등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부락근처나 사찰 등에 식재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일본(북해도를 제외한 전지역), 중국, 대만, 인도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4월60호
- 산딸나무, 층층나무, 식나무
- 산딸난무
높이 12m까지 자라지만 보통은 5m이하이고 직경 50c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수피는 회갈색으로 비교적 얇고 평활하지만 껍질이 박피되어 떨어져 마치 모과나무의 수피처럼 된다. 소지는 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노각나무, 산사나무
- 노각나무는 Stewartia속 중 한국 특산이고 경북 및 충북이남 표고 200~1200m에 주로 많이 자생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평안도에도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 특히 남부지방에서는 지리산, 덕유산,백운산 등에 많이..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2월58호
- 감나무, 차나무
- 감나무는 우리나라에 예부터 인가근처에 과수용으로 널리 식재되어 왔으며 야산의 산록이나 곡간에서도 자라고 있다. 수평적으로는 경기도 이남의 각 도와 수직적으로는 100-700m에 분포되어 있다. 감의 재배..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월57호
- 서어나무, 큰꽝꽝나무
- 서어나무_높이 10~15m, 직경 1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며 수피는 회색이고 평활하지만,
근육모양으로 울퉁불퉁하며 버즘같은 횐 반점이 희미하게 나타난다. 이 수피의 모양은 서어나무속의 특성이라 할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2월56호
- 팽나무, 무화과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1월5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