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 벚나무의 병충해
- 벚나무에는 여러종류의 진딧물 피해가 심하여 신초의 생장정지, 조기낙엽, 잎마른, 잎개방저해 등의 피해가 나타난다. 이로인해 조경수나 가로수로의 가치가 상실되고 수세쇠약으로 화아분화가 저해되어 꽃도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9월의 조경수관리 - 수목 뿌리수술
- 뿌리가 노쇠하여 기능이 쇠약해질 때, 병충해 피해로 뿌리가 부패될 때, 토목공사로 지표가 복토될 때, 지표에 콘크리트포장 및 아스팔트포장이 되어 있을 때, 배수 불량으로 뿌리가 부패될 때, 오염물질의 침..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9월161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주목, 철쭉류
- -주목
주목은 원래 한냉한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내한성은 강하나 내온성이 약하여 더운 지역에서는 생리적 장애를 가져온다. 주목은 어릴때는 음수이나 성장함에 따라 약간 양수로 전환되고, 온도에 있..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녹지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 소나무 병해로는 소나무 피목지고병, 잎 녹병, 끄름병, 뿌리썩음병, 리지나 뿌리 썩음병 등이 있다. ※ 키워드 : 소나무 병해 ※ 페이지 : p81-85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은행나무 편
- -공해피해 : 은행나무는 공해에 강한 수종으로 되어 있어 현재 도심지에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공해의 피해로 인하여 조기낙엽 엽면고사 등의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많은 양의 아황산가스가 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1월55호
-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1
- 현재까지 발표된 소나무의 병충해는 해충이 160여종이고 병해가 30여종에 이르고 있다. 이들중 우리나라에는 솔잎혹파리, 솔껍질 깍지벌레, 소나무 재선충이 발생하여 많은 소나무를 고사시키고 있다. ※ 키워..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년9월37호
- 나무외과수술1
- 현재 노거수와 대형목은 오랜세월 동안 야외에서 각종 피해를 받아 건전한 나무는 거의 없으며 모두 크고 작은 외과수술을 받아야 한다. 나무라는 것은 장기간 생육하는 것으로 외과수술을 받음으로서 오랜세..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89년9월31호
- 7월 - 흡수성 해충의 피해
- 7월의 조경수 관리
올해는 특히 봄과 초여름 사이에 건조의 피해가 심하여 흡수성 해충의 피해가 심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이식목의 흡수성 해충의 피해는 잎의 동화작용을 저해하여 신초 생장이나 뿌리..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7월159호
- 은행나무, 느티나무, 메타세쿼이아
- 은행나무는 일반적으로 병충해가 적은 수종이다. 그러나 토양의 물리적 피해와 공해 또는 외부상처의 피해를 많이 받는다. 해충으로는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흰불나방, 차잎말이나방, 가루깍지벌레, 뽕나..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5월61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녹지조경수의 피해의 종류에는 생리적 피해, 인위적 피해, 생물학적 피해, 기상적 피해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산업이 발달하고 인구가 집중되고 차량이 크게 증가되므로써 자연환경의 변화가 동식물의 생태계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년1월33호
- 8월의 조경수관리 - 수목 외과수술의 의의와 필요성
- 수목 외과수술의 의의와 필요성
천연기념물, 보호수, 노거수, 희귀수가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생물적 피해, 인위적 피해, 기상적 피해로 인하여 뿌리, 줄기, 가지에 외상을 받지 않은 나무는 거의 없는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8월160호
- 4월의 조경수 관리
- 수세회복
4월에는 이식하였거나 수세가 쇠약한 조경수목의 영양상태가 좋지 못하므로 인위적으로 영양(무기양료)을 공급하여 주어야 한다. 방법으로는 엽면시비와 영양제 수간주사이다.
■ 엽면..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4월156호
- 3월의 조경수 관리
- 가지치기
가지치기는 조경수목의 수세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 미관을 유지하고 노거수나 대형목의 경우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가지치기의 대상가지는 죽은 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3월155호
-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 나무의 생장과 발근은 뿌리의 생리작용과 관계가 있으며 뿌리는 토양조건에 의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가 있다. 특히 조경수목은 뿌리기능이 쇠약하므로 토양과의 관계를 잘 조절하여야 한다. 나무가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년7월36호
- 10월의 조경수관리
- 10월의 조경수 관리
◎수세회복
2001년도는 봄과 초여름 사이에 심한 가뭄이 있었고 여름에는 많은 비가 내려 이식목의 발근 생장에 심한 지장을 주었다. 그러므로 올해 식재된 조경수목은 수세가 쇠약하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년10월16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