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고정희' 검색 결과 36 건
- Green Life 일상 속 조경문화
- Green Life 일상 속 조경문화 Green life : About Making Gardens to Eat 문화 콘텐츠의 교환이 시작되다 우리 조경인들의 염원이 아무리 크다 하더라도 우리 사회에 조경이 아직 문화로서 자리잡지..
고정희 외 6인/월간 환경과조경/2008년9월245호
- 베를린의 유대인 추모광장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5년7월207호
- 칼 푀르스터
- 독일어권의 최신 조경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 “Landschaftsarchitekten I, II, III권”이 조경설계사무소의 자료실이나 조경학과의 연구실에 거의 빠짐없이 꽂혀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4년10월198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2): 도시의 계절
- 봄으로 오는 길올해는 유난히 봄소식이 더뎠다.봄으로 오는 길이 얼마나 길고 험했던가. 눈도 많이 내렸고 많이도 추웠었다. 3월에도 일주일 간격으로 눈이 내렸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러다 영영 겨..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5월265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5): 약용식물이야기, “흙의 꽃”
- -약초를 배우려면 우선 땅을 배워야 한다. -한 이탈리아의 약초전문가
1부: 고대편약용식물의 유래와 역사언제부터 인류가 식물을 의약으로 쓰기 시작했는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어쩌면 인..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9월269호
-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그 후
- 다행히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에 쏟아지는 관심이 큰 것 같다. 반가운 일이다. 한편 박람회가 끝나도 박람회장은 공원으로 남게 된다는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그걸 궁금해 하는 사람들..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3년6월302호
- 헤르만 마테른과 헤르타 함머박허
- 헤르만 마테른은 설계를 하기 위해 부지를 찾는 순간 이미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졌었더라고 전해진다. 도면위에 굵은 선을 던져 놓는 것으로 작업을 마치던 그는 말하자면 전형적인 예술가 타입이었고 임기응..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04년11월199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 17
-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역사 10셰익스피어의 식물 2
플로라 여신의 시대셰익스피어의 식물들이 집중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 영국에 식물 붐이 다시 일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미..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2월284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4): 식용식물이야기-“Food Fir..
- 마늘과 쑥먹기에 좋은 것이 보기에도 좋다고 했던가. 정원을 만드는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아름다운 식물이 먹을 수도 있는 것이라면 더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의외로 우리의 정원에는 먹을 수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7월267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6): 고대 약용식물 이야기 2, ..
- 오래 된 약장손 위의 언니가 정신여중을 다녔는데, 그때는 제기동 근처에 학교가 있었던 것 같다. 사년 터울이니 언니가 중학생일 때 나는 초등학생이었고 방학 때 언니를 따라 가끔 정신여중에 갔..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0년10월270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10):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 사과나무 정원의 불가능성에 대하여얼마 전 중국 산둥반도의 위해시(威海市)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위해시는 지리적으로 한국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어 기후조건이 한국 서해지방과 거의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1년2월274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15):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 식물의 상징성 2석류의 길 - 풍요의 여신이 성직자로 변한 사연장미가 예나 지금이나 꾸준히 상징계의 왕좌를 지키고 있다면, 예전에는 장미도 감히 넘보지 못할 최고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1년9월281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14)
-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역사 7식물의 상징성은 어떻게 형성되었나.‘자연은 신의 언어’라는 말이 있다. 신이 자연을 통해 인간과 대화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신과 인간이 직접 대화를 할..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1년8월280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9):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
- 사과는 사과나무에서 열린다.사과는 사과나무에서 열린다는 너무나 명백한 명제의 의미를 한 번 되새겨 보고 싶다. 우리 일상의 풍경을 지배하는 과일이 사과인데, 그에 반해 사과나무 자체는 주변..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월273호
- 고정희의 식물이야기 18
- 사람과 같이한 식물의 긴 역사 11
“식물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아주 오래 된 과거 속에 묻어두고 왔다. 그 이야기를 들으려면 우선 식물이 걸어 온 길을 되짚어 가야 한다. 그 끝은 아마도 신화의..
고정희/월간 환경과조경/2012년1월28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