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연금' 검색 결과 36 건
- 우연한 풍경은 없다(3)
-
도시의 무지개, 우주가 보여준 찰나의 아름다움
찬란한 만남
위키백과에게 물어보니 무지개는 ‘공기 중에 떠 있는 수많은 물방울에 태양빛이 닿아 그 물방울 안에서 굴절과 반사가 일어날 때, ..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9년4월252호
- 영국에서의 주민참여(2)-프렌즈그룹이 필요하다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06년8월220호
- 우연한 풍경은 없다(7): 신내동의 한평공원, 의식과..
- 첫 번째 사례의 사진 두 장은 2008년 만들어진 영구임대아파트단지 신내 10단지에 있는 한평공원의 조성 전과 후의 모습이다. 이곳은 아파트단지 입구에 있는 작은 쉼터임에도 세력다툼이 있었다. ..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9년8월256호
- The Publicness in Landscape Architecture, from G..
- 조경에서의 공공성, 착함에서 현명함으로공공적 조경, 착한 조경?
조경현상설계만 모아 놓은 책자를 펼친다. 그리고 그 안의 글을 읽어 본다.
지역의 고유성과 문화적 기억 남기기부지 내에 조용..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0년3월263호
- 우리는 누구나 놀이터가 필요하다 4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8년7월243호
- 체육 시설물 Part 2: 체육 시설물에 바란다②
- 주민 체육 시설, 생활 체육 그리고 건강에 대한 권리주민들은 체육 시설과 지압보도를 좋아한다사진은 종로에서 안국동 정독도서관으로 올라가는 길 한쪽의 풍경이다. 단풍나무, 가로등, 도시의 불..
김연금/계간 조경생태시공/2011년9월63호
- 우연한 풍경은 없다(6): 원서동의 작은 화분, 여름 ..
-
저곳에 누가? 왜? 저 나무를? 심었을까?일단 옹색하게 심겨진 나무들을 보자.이제, ‘저곳에 누가? 왜? 저 나무를? 심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자.
정원이 있는 이는 있는 대로, 없는 이는 없는 ..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9년7월255호
- 영국에서의 주민참여(3)-대화의 기술이 필요하다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06년9월221호
- 우리는 누구나 놀이터가 필요하다 1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8년4월240호
- 우리는 누구나 놀이터가 필요하다 3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8년6월242호
- 소통+장소, 조경(10)
- 시도와 실험에서 더 나아가기
“소통, 장소, 조경이라는 단어를 한자리에 모은 건 단순히 민주적인 절차 같은 뻔해진 가치에 대한 추구 때문만은 아니다. (전문가 실천을) 일상에 밀착시키려는 시도..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2월284호
- 우리는 누구나 놀이터가 필요하다 2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연금, 유다희/월간 환경과조경/2008년5월241호
- 소통+장소, 조경(1) _ 복잡성의 일상, 그리고 일리..
- 이 연재의 키워드는 소통, 장소, 조경이다. 그런데 이 세 단어를 한 곳에 모아 놓고 보니 너무 착한 단어들이다. 쿨하지도, 핫하지도 않다. 게다가 좀 식상하다 싶기까지 하다. “요즘사람들은 너무 ..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1년1월273호
- 소통+장소, 조경(3)
- 소통의 가치: 따지기 기능, 성찰, 상호작용의 과정“소통은 단순히 고정된 실체들이 자신들의 견해를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소통 자체를 통해 우리의 의견이, 생각이 구성된다. 그리고 당연히 이런 ..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1년3월275호
- 소통+장소, 조경(6): 촉진자로서의 조경가
- 일반인들을 참여시킨다고 그들에게 연필을 쥐어주자는 것은 아니다. 상호 이해 도달이 목적이다. 그리고 전문가의 분석과 지식에 대한 사회적이고 윤리적 판단은 일반인과 함께 해야 하며 전문가는 ..
김연금/월간 환경과조경/2011년6월27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