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인숙' 검색 결과 61 건
- 좌담 ; 2천년대 난지도 매립부지 이용방안 모색
- 일시 : 1993년 4월 7일 수요일 오후 2:00장소 : 본사 회의실좌장 : 오휘영(본지 발행인)참석자 : 윤계섭(대우엔지니어링 상무) / 장석효(서울시 도시계획과장) / 김기호(서울시립대 도시계획과 교수) / 김성균..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5월61호
- 직영체제… 조기착공으로 수목활착 월등
- “작업반장 중심의 시공을 배제하고 현장소장을 비롯한 조경기사들이 직접 시공에 참여, 끝까지 최선을 다한 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온 것 같다.” 보기드물게 토목·조경부문 우수시공업체의 자리를 한꺼번에 차..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93 엑스포 박람회장 조경광사 진척상황
- 도입요소물중의 하나로 솔라가로등을 들수 있는데 이는 태양광을 이용해 실생활에 이용토록 전시할 방침이다. 태양의 분수에는 솔라분수를 도입해 빛 차단시 물이 나오지 않도록 했으며 꽃봉오리 벤취, 그늘막..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월57호
- 그린벨트 완화,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 도시에 생명을 공급하는 녹지대인 그린벨트 완화를 둘러싸고 적지 않은 논란이 장기화되고 있다. 환경론자들은 혹시 제도가 후퇴하는 것은 아니냐며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이고 있고 일반시민들도 주민들의 생..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2월58호
- 칠암조경회서 91년 기념식수
- 칠암조경회(회장 김봉중)는 지난 91년 8월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전칠암인과 내빈이 참석한 가운데 통일된 조국의 그날을 대변하겠다는 강한 의지와 함께 우리의 고유수종인 반송을 기념식수 하기로 합의를 봤..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0월66호
- 대왕산 용늪 ;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 상처치유 시급-
- -이탄층 형성, 국내 유일의 고층습원
강원도 인제군과 양구군 접경 대암산 정상부에 위치한 용늪은 약 9천2백평의 면적으로 평탄한 고원분지에 높은 산들로 둘러사인 전형적인 . 해발 1,300여m에 위치한 국내..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년11월115호
- 목재방부재 시장에 무공해 바람 ; CFK, KD, ZKF
- 그동안 시중에 많이 유통된 목재방부처리제인 오산화비소화합물은 맹독성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를 요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작업장에서 근무할 시 인체에 유해하다는 지적을 받아왔..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년5월85호
- 조경관련서적 너무 빈약하다.
- 모든 분야가 그렇듯이 조경도 독자의 요구와 선호도, 사회적 추세에 따라 그 수맥을 찾아 전문화, 세분화해야 한다, 일반 책자가 아닌 전문서적은 우물을 파는일과 흡사해 땅을 좁고 깊게 파지 않으면 수맥을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공무원 조경학 박사 1호 탄생, 서울시 환경관리실 녹지과 박율진 씨
- 국내 최초로 공무원 조경박사 1호가 탄생했다.
지난 2월 23일 경희대 대학원 졸업식장에 참석한 박율진 씨(38세 임업직 7급)는 가슴벅찬 박사학위증을 품에 앉고서야 5년여의 어둡고 긴 터널의 끝을 빠져 나..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년4월96호
- 뒤뜰 휴식공간과 조화이룬 이색문화 쉼터
- 이복형, 홍갑수 부부가 30여년 전부터 꿈속에서 그리던 모습을 현실화 시킨,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설립된 라틴아메리카 전문박물관이기도 하다. 30여년의 외교관 생활 중 20여년을 중남미 지역에서 보..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년11월91호
- 일제역사현장이 휴식공간과 산교육장으로 _ 서대문독립공원 개원
- 일제 치하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옥고를 치렀던 서대문형무소가 독립공원으로 조성, 시민의 휴식공간이자 역사교육장으로 새단장 됐다. 서대문독립공원은 3·1운동 독립기념선언관, 유관순 열사 지하옥사 등의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그린비전 서울2000 ; 서울시, 공원녹지기획관 조경과 신설로 푸른도시 박차
- 서울특별시 환경관리실은 요즘 축제분위기로 매일 시끌벅적하다. 지난 8월 29일 조순 서울시장이 종합적인 공원녹지 대책을 마련함에 따라 한결같이 “이제 제대로 일다운 일, 하고자 했던 일을 할 수 있게 됐..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6년11월103호
- 도시지역내 생물서식공간 조성기술 국제심포지움
- -“도시야생생물서식처와 계획”_Millard 교수(Leeds Metropolitan University)
1992년 리우회의 때 영국은 생물다양성 협정에 서명하고 난 후, 정부차원에서 영국 생물다양성 행동계획이 마련되었다. 도시지역..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년11월115호
- 못새 아쉬운 용봉대에서의 40여년 세월_전남대 정동오 교수, 지난 2월 정..
- 많은 일들 중 가장 보람을 느꼈던 일이 있으시다면...
미래의 조경학도와 호흡을 같이 하면서 보람아닌 보람이라면 나 자신이 조경발전사 연구에 심신을 던지면서 느꼈던 일들로 지금도 또렷이 생각납니다. ..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미리가 본 ‘97 고양세계꽃박람회
- 세계 각국의 갖가지 꽃과 식물 뽐내기가 30여만평의 일산호수공원에서 펼쳐진다. 오는 5월 3일부터 18일까지 ‘꽃과 인간과의 만남’ 이라는 테마로 꽃축제의 장이 될 ‘97 고양세계 꽃박람회는 세계 여러나라 희..
김인숙/월간 환경과조경/1997년5월10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