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한배' 검색 결과 26 건
조경분야의 포지셔닝 엔진-환경조경발전재단에 바란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69221
조경은 사회과학이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64216
예술과 설계에 있어서의 이중률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610222
새해를 열면서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61213
입맛, 눈맛 그리고 조경설계의 정체성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0612224
21세기 도시조경의 파라다임 전환
이 시대의 환경설계전문가 한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계관의 인간주의적 전환이고, 그것이 우리 전문분야의 생존전략이자 지역사회에 전향적으로 기여하는 방식일 것이다. 이러한 설계사고의 능동적 전..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73107
전통조경의 계승과 현대화 계획 ; 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
우리나라에서 전통성의 추구는 주로 형태주의의 방향에서 주고 행해졌으며 그것이 조경외적인 지나친 목적성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전통의식은 개개작품의 작품성을 오히려 억압해 왔고, 결국..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76110
IMF와 우리 환경문화의 복원
보아오던 우리의 도시와 농촌의 터전임에도 요즘은 유난히 황량하다. 정 붙일 곳 없이 낯설다. IMF 사태는 경제에서 비롯되었지만 앞으로 사회·문화문제로 비화될 것이다. 소외와 갈등, 공동체의식의 붕괴, 이..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88124
도시경관의 역사성과 설계적 함의
최근 도시경관 특히 역사경관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조성사업들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는 도시경관연구의 발상지인 유럽으로부터 시작하여 일본에서는 전국적인 시민운동으로까지 활성화되고 있다. 대..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6193
한국조경의 오늘을 진단하다(2)-지상좌담: 탈 토건..
조경의 봄날은 가고 있는가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조경의 총 수주물량이 전성기의 반토막 이하로 줄고, 실제 군소업체의 체감물량은 이의 또한 반 이하로 줄어들어 가고 있다. 앞으로의 전망 ..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20129293
조경의 패러다임 모색 ; 한국, 오늘의 조경정신
조경 가치관의 변천 조경이란 크게 보면 ‘자연(환경)과 인간(문화) 간의 가장 이상적인 만남의 방식’ 을 찾아내는 일이다. 이에 따라 조경은 언제나 자연(환경)과학이나 인문(예술)학 양대 학문의 갈래속에 주..
김한배/월간 환경과조경/19991129
1 2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