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송기훈' 검색 결과 37 건
억새와 그 종류들
산이나 들을 지나며 또는 하천변이나 강가를 차를 몰고 지나치는 짧은 순간에도 주변경관에 까닭 없이 매료되는 경우가 있다. 누가 일부러 만들어 놓은 것도 아닌데 자연의 변화와 억척스런 삶이 어우러져 자..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925
숫잔대와 그 종류들
Sessile Lobelia올해는 유난히 기후의 변화가 심해서 그동안 익숙해 있던 계절에 대한 상식의 범주를 넘는 일이 허다하다. 장마철에는 가물더니 한여름의 무더위와 함께 8월의 우기가 시작되고, 가..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10959
자주천인국과 그 종류들
여름부터 가을까지 크고 두드러진 해바라기형의 꽃들이 강인하게 곧추선 줄기의 끝에 피는 자주천인국(에키나세아속의 Echinacea purpurea) 종류들은 모든 숙근초들 중에서도 가장 믿을만하며 그 ..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9955
헐마꽃과 그 종류들
긴 겨울의 끝자락에서 미구에 느닷없이 다가올지도 모를 꽃샘추위를 염려해서인지 눈부신 은빛 솜옷을 입은 채 이른 봄 양지바른 언덕이나 구릉의 잔디밭이나 풀밭에서 조심스레 기지개를 펴는 할미꽃 종류들..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8444
용머리와 벌깨풀
낮게 자라는 숙근초인 용머리와 벌깨풀 종류들은 건조에 강하며 화기와 수명이 비교적 길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는 우수한 지피식물로서 화단의 가장자리, 암석원, 절개지 사면, 옥상정원 등에 ..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9353
크리스마스로즈와 렌텐로즈
크리스마스로즈는 식물을 길러본 경험이 적은 초심자들도 비교적 쉽게 가꿀 수 있는 매우 근사한 식물로 정원을 조성하거나 조경용 하층식재의 필수적인 소재로 각광 받고 있다. 최근에 유럽이나 미국뿐만 아..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5313
뉴질랜드의 자연경관과 식물
강수량이 많고 연중 고르게 비가 오는 까닭에 나무들이 온통 착생식물과 이끼로 뒤덮인 뉴질랜드의 숲은 아열대 우림(subtropical rainforest, 북섬 일부)과 대부분의 지역이 해당되는 아남극대 우림(subantar..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416
비비추와 옥잠화
종소명인 capitata는 두상화서를 뜻하는 capitate에서 유래한 것으로 꽃들이 공처럼 모여 핀다는 같은 이유로 일월이라 했으니 재미있게 일치한 경우이다. 보통 폭 35~40cm에 높이가 약 25cm 정도로 자라며 7~..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437
조팝나무와 그 종류들
일반적으로 지피식물(ground-cover plant)이라 함은 지면을 피복하는 성질을 갖거나 피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들을 일컫는다고 할 수 있다. 지피식물로 흔히 쓰이는 대부분의 식물들은 낮게 자라..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521
송악과 아이비
일반적으로 아이비(Ivy)라 하고 자생종으로 송악(Hedera helix)이 포함되어 있는 Hedera속 식물들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넓은 잎 식물로 흡착근이 발달하여 바위나 나무의 줄기에 붙어 덩굴로 자라거..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41111
대사초와 그 종류들
여러 가지 식물들을 재배하면서 항상 아쉬워하는 것은 대부분이 그 한창때의 모습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소나무나 대나무와 같이 상록성인 것들을 좋아하거나 선호하는 이유는 늘 한결 같은 모습에 있..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71038
노루오줌과 그 종류들
지피식물로 매우 효과적인 식물군으로서 전세계의 온대지역에서 흔히 재배되며, 인기가 있어 다양한 품종들이 선발되어온 것 중의 하나로 노루오줌이 있다. 각각의 꽃은 매우 작아서 별볼일 없는 듯하나 수많..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723
애기범부채와 그 품종들
애기범부채는 제주도에서 재배되던 것이 일부 지역에서 야생상으로 퍼져가는 것으로 보여지는데 품종여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종간교잡종인 Crocosmia×crocosmiiflora로 생각되며, 종자에 의해 자생적으로 ..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4910
줄사철나무와 그 품종들
겨울에도 푸른 나무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은 반면에 정작 내한성이 강하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철나무나 줄사철나무는 필자의 기대치에 전혀 미치지 않을 정도로 이용되는 사례가 적다고 생각된다.....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118
앵초와 앵초 속 식물들
우리나라에 주로 이용되는 지피식물들을 보면 지면 녹화로서는 유용하지만 관상성이 미흡하여 보다 아름답고 화려한 경관을 연출하는 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어쩔 수 없이 어둡고 칙칙했던 겨울이..
송기훈/계간 조경생태시공/2006319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