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장태현' 검색 결과 37 건
중국 산수화의 경전
- 계림의 리강, 곤명의 석림, 장가계의 무릉원 - 중국인들은 역사적으로 자기중심적 사고, 또는 과시적 기대표현을 즐겨 사용하여 왔다. 흔히 이야기되는 중화사상(中華思想)으로 "세계적", "중..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36182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4) - 발해여 다시 한번 - 연변(延邊)지역의 발해 유적들 현재의 연변지역은 발해국(渤海國)이 건립되기 이전에는 고구려에 부속된 백산 말갈인(白山 靺鞨人)이 살던 곳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7159
‘한 지붕 두 가족’의 성남시
이렇게 성남지역은 지리적 자연환경이나 역사적 여건을 살펴볼 때 자생적 도시발전이 아니었고, 국가 의지에 의해 버려지고, 선택된 위성도시로 위장되어 다시 태어난 것이다. 그러자니 20여 년의 시간차이를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7135
쉴자리를 다듬어야 할 원주(原州) 볼거리를 만들어 가는 강릉(江陵)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다. 산은 물을 담고 있어 생명의 젖줄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많은 생명들을 포용하고 있다. 지대가 낮고 물줄기가 넓은 곳에서는 큰 터를 일구게 하고 높 고 좁은 곳에서도 허용할 수 있..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811127
중국에서 우리의 숨결
고대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구려 문화유적지는 언제나 마음속에만 묻어두고 기회만을 기다리고 있던 중이었다. 미참 북경에서의 학술회의를 마치고 연변에 들렀을 때 백두산 및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鎭..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41280
다시 깨어나는 항구도시 목포, 두 번째의 강남 순천
예술이 있고 멋이 있어 좋은 도시, 우리나라 최서남단의 항구도시, 점점이 그림같은 다도해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고장, 그래도 그중에서 목포의 유달산(儒達山,해발 228m)은 노령산맥의 마지막묏부리로서 시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1129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1) - 발해에 대한 해석
벌써 6년이나 흘렀을까? 1994년 그 해 여름 압록강변의 집안(集安)시를 찾은 일이 있었다. 통화(通化)에서 5시간 넘게 흔들리면서 통구하(通溝河)를 굽이치다 대우산(大禹山), 의룡산(依龍山), 칠성산(七星山)..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1153
해동성국(海東盛國)을 다녀와서(2) - 발해의 터전들
박혔던 돌이 굴러온 돌에 치이다니 2000년 5월 연길에 다시 도착하니 봄색이 완연하였다. 지난겨울 지내기가 불편하여 잠시 귀국하였었는데 다행히도 도시를 메웠던 매연가스도 사라져 버린 후였다. 그 길..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13155
젊음의 도시 부천, 회춘(回春)의 도시 의정부
그동안 몇 회에 걸쳐 여러 중소도시들을 답사하면서 느낀 것 중의 한가지는 그 도시의 위치조건과 제반 여건을 감안한다면 도시의 살림살이가 들여다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공원을 거닐다 보면 사는 사람들의..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5133
남강과 함께 살아가는 진주 가고프지 않은 고향 마산
지리산 산행을 마치면 으레 찾아가는 곳이 진주이다, 습관적으로 산자락의 산사를 찾고 문화유적을 훑다 섬진강따라 남쪽으로 내려오면 편안하게 맞아주는 도시가 진주시이다. 지리산에서부터 묻혀온 피로..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두만강변 7백리길을 다녀와서 ; 조선족 이주정착의 배경
 지난 1999년 9월 1일부터 1년간 해외 파견교수로 임명을 받은 나는 13회에 걸쳐 답사해 보았던 중국 일대를 다시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동안 주마간산격으로 변방문화권의 이구석과 저구석을 헤집기만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3143
두만강변 7백리 길을 다녀와서 ; 변치않는 습관과 변할 수 없는 운명들
1999년 11월 26일 20세기의 마지막 해가 기울어 가기 시작하자 둥지를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해졌다. 편할 수 없는 이국(異國)에서의 객지 생활보다도 짧은 기간 동안이나마 의식과 환경의 차이를 극복하..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5145
두만강변 7백리를 다녀와서 ; 강변사람들의 잊혀졌던 모습들
 9월 7일. 연길에 여장을 풀 겨를도 없이 다음날부터 답사는 시작되었다. 그런데 안내를 하겠다는 젊은이가 별난 친구였다. 북경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임산가공 분야에서 뚜렷한 직장도 갖고 있던 그는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20004144
육지로부터 오염되는 제주시 남국의 정취 간직한 서귀포시
90년간의 몽골의 침략으로 대륙문화의 흔적이나 육지에서와 같은 교육·종교시설도 없지 않지만, 주로 자연환경에 저항하고 순응하기 위한 현실적 삶의 표현이 지역의 정체성으로 남아 섬 문화의 특성을 보여주..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93131
의외로 국제적이지 못한 군산(群山) 전통지키며 세계화 추구하는 남원(南..
우리의 것을 수탈당하며 외래문화에 쉽게 동화되어 가는 오늘의 도시화와 비록 산골 오지에서 배고픔을 잊어가며 나의 것을 지켜왔던 경우가 대비되는 듯하여 내일의 우리 공원 문화에 대한 갈길을 명시하고 ..
장태현/월간 환경과조경/19977111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