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홍광표' 검색 결과 31 건
한국 사찰의 수경관(6): 사찰의 수경관 요소
지당입수와 출수못에 물을 넣고 물을 빼는 것은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수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이렇게 수질을 유지하고 수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2967
한국 사찰의 수경관(3): 사찰의 수경관 요소
연지연지는 연을 심은 못을 말한다. 조경식물학자 최상범은 “연지에 심어진 연꽃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으로 연지에 관련된 문화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최상범, 199..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11264
한국 사찰의 수경관(1): 사찰과 수경관
불교의 성립과 사찰의 초기 형식불교는 인도에서 발상된 종교이다. 불교의 창시자인 고타마 싯다르타Gotama, Siddhartha는 샤카족이 세운 왕국 카삘라와스뚜Kapilavastu의 숫도다나Suddhodana, 淨飯..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1662
한국 사찰의 수경관(2): 사찰의 수경관 요소
계류풍수지리에서 산은 움직이지 않고 정(停)하기 때문에 음으로 보며, 물은 움직여 동(動)하므로 양으로 본다. 음과 양이 서로 교배했을 때만 혈을 결지할 수 있다는 음양의 관점에서 본다면 물의 ..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11963
보르 비 꽁트
프랑스 최고의 정원으로 일컫어지고 있는 베르사이유를 탄생시키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보르비꽁트원은 파리와 fontainbleau성의 중간에 위치한 melun이라는 소도시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 이 정원은 프..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0937
베르사이유 궁원
베르사이유 궁원의 각 공간별로 소개를 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많은 조각상을 가진 북측 자수화단, 북측 자수화단으로부터 용의 분천에 이르는 그늘진 산책로는 물의 가로 혹은 Marmoset의 가로라고 불리우..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541
전통조경에 나타난 과학성 ; 전통구조물 및 시설에 나타난 선조들의 지혜
우리나라는 예부터 경사지 이용에 있어서 매우 지혜로운 생각을 갖고 있었다. 배산임수라 하여 물을 앞에 두고 산을 뒤로 하여 마을을 형성하고 주택을 앉힘으로서 미기후를 조절하였음은 물론 시야틀 트이게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베르사이유궁원
베르사이유원의 총체적 공간구성은 앙드레 르 노트르에 의해서 도입된 두 개의 긴 시축선을 골격으로 하여 궁원의 다양하고 복잡한 여러 부분들을 유기적으로 수렴하는 조직방ㅅ익을 통해 이뤄진다. 베르사이..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340
일본 아미타바이엔 한국정원을 보고 한국 전통조경을 생각하다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20049197
사찰의 외부공간구성요소
우리나라 사찰에는 일반적으로 약 1~3종의 대문이 있는데, 사찰의 외부영역과 내부영역을 구분하여 입구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가진 일주문과 중심축선상의 각 소단위 공간의 결절점에 위치하는 천왕문(혹은 금..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925
사찰조경연구 ; 사찰의 외부공간 구성기법
우리나라 전통건축공간에 있어서 이 외부공간이 지니는 의미는 사실상 외부공간에 비해서 한층 더 높은 중요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기후가 외부생활을 용이하게 하여 사람들의 행태가 외부지..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322
베르사이유궁원
베르사이유원을 둘러 본 사람이 라면 그 누구라도 이 굉장한 보물과도 같은 장소를 통해 왕권에 의해 통치되던 위대한 몇세기 동안의 프랑스가 실로 어느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139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한국전통조경에 내재하는 동양..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다양한 종교와 철학 및 사상성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고유한 문화를 일구어 왔다. 이 문화는 일견 중국의 문화와 흡사할지도 모르겠으나 그 심층 심성이 뚜렷하게 내재되어 있음..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77111
사찰의 공간구성
불교사찰은 근본적으로 하나의 장소로서 형성되는 성의 공간이며 이는 일정한 경계(담, 개울, 자연지형 등)를 통해서 속의 영역과 구분된다. 그런데 불교사찰의 내부영역은 성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는 본질적..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121
사찰경관의 시각구조적 특징
경관이라는 것이 일정한 시간과 특정한 장소에서 생성된 하나의 문화적 결과이고 사차원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경관구성기법을 파악하여 현재와 미래의 경관조작을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523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