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 버즘나무, 장미
-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며 공원 정원의 주위 또는 길 경계지역에 심겨져 있다. 뿌리의 발근도 좋고 척박한 토양이나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도심지의 공해 피해에도 강하다. 그..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년5월85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약제에 의한 병충해 방제
- 농약 살포는 병해충의 효율적 방제를 위한 것이나 살포하는 자의 안전을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농약 살포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사용하고자 하는 농약을 선택하는 일이며 농약을 구입하면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32) 약제에 의한 병충해 방제
- 병충해 방제 방법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효과가 빠른 방법이 약제에 의한 화학적 방법이다. 본 장에서는 화학적 방제에 의한 사용방법과 농약에 대하여 논하기로 한다.
※ 키워드 _ 병충해, 농약, 조경..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년1월81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31)(발생병해의 원인과 표조)
- 병을 일으키는 원인-병을 일으키는 원인중 그 원인이 생물이거나 바이러스일 경우를 병원체라 하고, 이것이 균류인 곰팡이 세균일 때를 병원균이라 한다. 샹물성 원인을 전염성병 또는 기생성병이라고 하며 병..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0월78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병충해 상태
- 병충해의 발생원인과 방제
도시녹지 조경수목의 병충해는 단독 전파로 발생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환경요인과 토양조건에 의하여 많은 수목이 쇠약해지고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뿌리기능의 활성화
- 뿌리기능 약화는 무기양료의 흡수에 지장을 가져와 무기양료의 결핍현상을 일으킨다. 이는 생장장애, 황화현상, 잎왜소, 조기낙엽, 입기형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수목은 잎(탄소동화작용, 호흡작용), 줄기(비..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년5월73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뿌리기능의 활성화
- 수목의 건강한 생장은 수목자체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에 따른 생리기능을 잘 알아야 건전한 생육을 유도할 수가 있다. 특히 수목의 생리기능의 원리를 모르고는 생리기능 장애에서 오는..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년3월71호
- 회약목, 쥐똥나무
- 회양목
조경수목중 상록활엽관목인 회양목은 공원 · 정원의 조성에 있어 아름다운 경관과 미학적인 선의 흐름이 뚜렷하여 정원 · 공원의 경계지에 생울타리로 집단 식재한다. 또한 중생식물로 음지나 양지..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월69호
- 모과나무, 배롱나무
-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1월67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주목, 철쭉류
- -주목
주목은 원래 한냉한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서 내한성은 강하나 내온성이 약하여 더운 지역에서는 생리적 장애를 가져온다. 주목은 어릴때는 음수이나 성장함에 따라 약간 양수로 전환되고, 온도에 있..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독일가문비 잣나무
- 독일가문비_독일가문비는 조경수로 많이 이용되는 수종으로 정원이나 공원에 많이 식재되어
왔으며 최근에도 식재되고 있다. 일제시대와 해방후 산업이 발달되기전 까지는 도시의 공원이나 정원에서 잘 생장..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8월64호
- 은행나무, 느티나무, 메타세쿼이아
- 은행나무는 일반적으로 병충해가 적은 수종이다. 그러나 토양의 물리적 피해와 공해 또는 외부상처의 피해를 많이 받는다. 해충으로는 어스렝이나방, 주머니나방, 흰불나방, 차잎말이나방, 가루깍지벌레, 뽕나..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5월61호
- 조경수의 보호관리
- 소나무류의 병충해 방제
소나무의 경우 이식목이나 쇠약목에 대하여는 소나무좀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3월하순부터 4월중순사이에 스미치온 2백~3백배액과 다이아톤 2백~3백배액을 혼합하여 7~10일 간격..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3월59호
- 은행나무 병충해
- 은행나무의 병충해로는 동고병, 자무늬병, 주머니나방, 가루깍지벌레, 이세리아깍지벌레 등이 있다.
※ 키워드: 은행나무
※ 페이지 : 128-133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3년1월57호
- 은행나무 편
- -공해피해 : 은행나무는 공해에 강한 수종으로 되어 있어 현재 도심지에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나 공해의 피해로 인하여 조기낙엽 엽면고사 등의 피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많은 양의 아황산가스가 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1월5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