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정재훈' 검색 결과 63 건
서원의 조원
-병산서원 : 철종14년(1863)에 ‘병산(屛山)’이란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승격된 병산서원은, 북쪽은 화산(花山)이 감싸고 남쪽은 넓은 낙동강이 흐르는 배산임수한 곳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서원의 건물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775
서원의 조원
소수서원 _ 소수서원은 중종 37년(1542) 풍기군수였던 주세붕이 백운동에 안향의 사묘를 세웠다. 이듬해 매헌영정을 봉안하고 학사를 이건하여 백운동서원을 창건하였다. 이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사..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573
서원(書院)의 조원
서원의 구성과 배치를 살펴보면 서원은 선현을 제사드리는 제향구역, 교육을 실시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강당과 원생이 숙식하는 동재, 서재가 있는 강학구역, 서원을 관리하는 고직사 구역, 누나 출입문이 있..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472
고려시대의 사원4
춘천 청평사_강원도 춘천군 북산면 청평리 산 675번지에 있는 청평사(淸平寺)는 청평산 부용봉(芙蓉奉 해발 668m) 남쪽 기슭에 있다. 이곳은 고려시대 진락공 이자현이 17년(1089-1125)동안 은거(隱居)한 곳으..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고려시대 이후의 사원3
-남원 만복사지 전라북도 남원시 왕정동 교룡산성(蛟龍山城)남쪽 기린봉(麒麟峰 해발 285m) 기슭에 있다. 만복사지(萬福寺址)는 고려 문종(1046~1083)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유재란시에 남원성의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270
고려시대 이후의 사원2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4169
고려시대 이후의 사원1
-공주 마곡사 : 마곡사의 공간구성은 다른 사원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다. 사역의 가운데는 상원골에서 흘러온 희지천이 마곡사를 S자형으로 감싸고 동쪽으로 흐른다. 희지천에 의해 구획된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1268
통일신라 사원4
e-메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1167
통일신라 사원3
남원 실상사_실상사는 최초의 선종(禪宗) 사찰로서 신라 흥덕왕 3년(828) 당나라에 가서 선법(禪法)을 배우고 돌아온 홍척(洪陟)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후기에 들어온 선종에 의하여 사찰에 승려의 부도(..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1066
통일신라 사원2
-부석사 해동화엄종의 종찰로 산지가람인 부석사의 전체 배치축은 서남향을 하고 있으나 무량수전만은 방향을 바꾸어 남향으로 배치하였다. 전저후고의 구릉지에 형성된 가람은 지형에 따라 여러 단의 석축단..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965
통일신라 사원1
경주 사천왕사지 _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 935의 2번지에 있다. 경주 낭산(狼山, 일명皇福山, 해발115m) 남쪽기슭에 있는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는 신라 문무왕 19년(679)에 창건된 사원지(寺院赴)이다. 사..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864
석굴사원(石窟寺苑)
경주의 석굴암은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토함산 정상 동쪽에 있다. 석굴암은 송림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토함산 정상 밑의 명당지(해발 565m)에 동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석굴암의 동서 양쪽은..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662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 마애불 사원
서쪽으로 8m정도 거리에는 높이 4m인 3층석탑(보물 제 301호)1기와 큰 탱자나무 1주가 서있다. 석탑서측은 대나무가 숲을 이루고, 기암절벽위에는 종가시나무와 동백나무가 어울려 장관을 이룬다. 반암의 남단..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561
마애불 사원
마애불은 자연의 암벽이나 언덕, 동굴 등에 조각한 불상조각을 말하는 것으로 죽림정사나 기원정사와 함께 불교사원의 효시가 된다. - 서산 마애삼존불 충청남도 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2의 40번지에 있다.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460
삼국시대의 사원3
정림사지 정림사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번지에 있다. 1942~1943년에 일본인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때 태평8년무진정림사대장당초라는 명문와가 출토되어 정림사지라 ..
정재훈/월간 환경과조경/1993359
1 2 3 4 5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