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박경자' 검색 결과 41 건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
주변의 제건물군 배치형식은 대부분의 건물이 남향이고 각 건물의 중심축은 중앙부의 기본축에 평행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 축성은 기본중심축에 비하면 완화된 감을 주고 있다. 즉 경회루 주변에서 보면 경회..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11127
19세기 실경화와 조경
서울 북악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경복궁(景福宮)은 조선왕조의 정궁(正宮)으로 태조 3년(1394) 12월 3일 개기제(開基祭)를 지낸 후 다음 해인 태조 4년(1395) 9월 5일 준공을 보게 되었다. 태조는 새 도읍지..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10126
18세기 실경화와 조경
-궁궐, 관아 현재까지 밝혀진 우리나라의 궁궐 관련 그림들은 각종 궁중행사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그 행사장소로서 부득이 궁궐을 나타낸 경우와 궁궐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하여 특별히 그린 경우에 한정되..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9125
18세기 실경화(實景畵)와 조경
지금까지 한국전통조경의 주된 연구대상은 보존되어 왔거나 발굴된 유적지를 대상으로 관련 사료를 수집, 유적지를 해석하는 방법을 주로 취해왔다. 그러나 현존하는 유적지의 수와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그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88124
전통공간의 보도포장
대부분의 전통공간의 보도는 마사토 포장을 한다. 마사토 포장은 인공적 구조물 대신에 자연을 직접 접촉하게 하는 좋은 포장 기법이기는 하지만 내구성이나 평탄성, 방진에는 그 기능이 떨어진다. 마사토 포..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7111
연못
대부분의 사찰의 입구에는 연못이 조성되어 있어 사찰경관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연못에는 연꽃이 만개한 극락세계의 장엄이 현현되고 있다. 무량수경에서는 극락정토의 연못을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불..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5109
연못 ; 관아의 연못
옛 관공서의 건물을 관아라 말하는데 관아의 뜰에는 누각과 연못이 있어서 조경공간의 중심이 되어왔다. 충청남도 공주에는 사적 제12호인 공산성이 있는데 이곳은 백제가 서울을 한성에서 웅진으로 옮긴 후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3107
연못 ; 민가의 연못(경상북도)
경상북도 달성군 하빈면 묘동에 위치한 하엽정의 연못은 별당인 하엽정 전면에 네모난 방지가 조성되어 있고 연못 중앙에 둥근 섬이 있으며 연못 가득 연잎이 무성했다. 안동시 법흥동 안동댐 입구에 위치한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71105
민가의 연못(전라도)
민가의 연못경관의 극치는 연꽃이 피는 7, 8월이 아닌가 한다. 이 때의 연못은 숨막히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연꽃은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 인도라는 열대성 기후대에 속한 땅에 사는 사람들은 물이 있는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611103
연못 ; 궁궐의 연못
조선시대의 궁 중에서 정궁인 경복궁은 조선 건국 직후 창건(1394년) 되었으며, 경복궁 원유중에 연못으로는 경회루와 그 방지, 향원정과 향원지가 있다. 경회루 방지는 조선왕궁 원지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610102
전통옥외계단
계단은 건축물의 기단을 쌓아올려 생긴 계단과 높낮이가 다른 두 공간을 연결시키는 계단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 중 기단형 계단은 권력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고대의 신전에서는 인간이 신..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6395
전통공간의 배수기법
배수의 의미를 주공간 중심으로 입수와 배수를 적절히 관리, 조절하는 의미로 사용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배수는 배수의 의미의 일부로서 순수 학문적 의미에서는 표면배수와 심토층 ..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1292
화계
화계라는 것은 계단형태의 화단은 말하는 것으로 우리의 옛집은 그 입지가 풍수지리상 배산임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집 후면이 언덕을 깎아서 계단을 서너단 만들었다, 그 계단에 초화류와 관목류 혹은 소교목..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989
사적지 조경의 현주소 ; 문화재조경 보수방법
문화재는 우리민족이 이룩한 유형 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포괄하는 보존할 만할 가치가 있는 문화유산을 지칭한다. 문화재보호법에는 문화재의 종류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의 4개 유형으..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787
석등
석등을 불사(佛舍)나 능묘(陵墓) 앞에만 설치되는 시설물로 보아서는 안 되고 동결도 이전은 현재 고증할 수 없지만 적어도 동결도가 완성된 시기의 조선말에는 궁궐 곳곳에 석등이 설치되어 왔다고 볼 수 있..
박경자/월간 환경과조경/1995686
1 2 3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