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홍광표' 검색 결과 31 건
- 한국의 전통수경관(2) 수경관의 형식 1
- 지당1) 개관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지당은 조경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수경요소로 취급되어 왔다. 특히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면서 아름다운 경관을 조성하게 되고, 주변환경과의 경관적 맥락성을 가지..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09년9월55호
- 한국의 전통수경관(1) 옛 정원과 물
- 시작하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정원에서 물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였다. 기원전 2500여년경의 고대 이집트 정원에서 물은 더위를 식히는 기능성과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심미성을 가진 존재였으며..
홍광표/계간 조경생태시공/2009년6월54호
- 일본 아미타바이엔 한국정원을 보고 한국 전통조경을 생각하다
- e-매거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2004년9월197호
-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 한국전통조경에 내재하는 동양..
-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로부터 다양한 종교와 철학 및 사상성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고유한 문화를 일구어 왔다. 이 문화는 일견 중국의 문화와 흡사할지도 모르겠으나 그 심층 심성이 뚜렷하게 내재되어 있음..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7년7월111호
- 역사경관의 전통성과 창조적 계승을 위한 재조명
- 경관이라는 것은 인간이 가진 삶의 미학이 구체적으로 표현된 결과로서 그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되며, 전시대의 경관에 다음 시대의 경관이 덧붙여져서 나타나는 4차원적 산물이 된다. 이렇게..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5년7월87호
- 워터파크(Water Park) ; 워터파크의 유형
- 워터파크는 물을 우세요소(dominant element)로 도입하여 공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주제공원, 혹은 물 중심공원이라고 앞에서 정의한 바 있다. 이 워터파크는 몇가지 기준을 토대로 구분할때 다음과 같이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4년6월74호
- 전통조경에 나타난 과학성 ; 전통구조물 및 시설에 나타난 선조들의 지혜
- 우리나라는 예부터 경사지 이용에 있어서 매우 지혜로운 생각을 갖고 있었다. 배산임수라 하여 물을 앞에 두고 산을 뒤로 하여 마을을 형성하고 주택을 앉힘으로서 미기후를 조절하였음은 물론 시야틀 트이게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3년9월65호
- 베르사이유 궁원
- 베르사이유 궁원의 각 공간별로 소개를 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많은 조각상을 가진 북측 자수화단, 북측 자수화단으로부터 용의 분천에 이르는 그늘진 산책로는 물의 가로 혹은 Marmoset의 가로라고 불리우..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베르사이유궁원
- 베르사이유원의 총체적 공간구성은 앙드레 르 노트르에 의해서 도입된 두 개의 긴 시축선을 골격으로 하여 궁원의 다양하고 복잡한 여러 부분들을 유기적으로 수렴하는 조직방ㅅ익을 통해 이뤄진다. 베르사이..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
- 베르사이유궁원
- 베르사이유원을 둘러 본 사람이 라면 그 누구라도 이 굉장한 보물과도 같은 장소를 통해 왕권에 의해 통치되던 위대한 몇세기 동안의 프랑스가 실로 어느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였는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월39호
- 보르 비 꽁트
- 프랑스 최고의 정원으로 일컫어지고 있는 베르사이유를 탄생시키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보르비꽁트원은 파리와 fontainbleau성의 중간에 위치한 melun이라는 소도시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 이 정원은 프..
김용기,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90년9월37호
- 사찰의 외부공간 구성요소
- 석조점경물이란 자연재료인 돌을 인위적으로 깎거나 다듬어서 만든 비교적 규모가 작은 경관구성요소로서, 우리나라 전통건축공간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그것에 대한 공간구성요소로서의 역할 및 중요성은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년11월26호
- 사찰의 외부공간구성요소
- 우리나라 사찰에는 일반적으로 약 1~3종의 대문이 있는데, 사찰의 외부영역과 내부영역을 구분하여 입구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가진 일주문과 중심축선상의 각 소단위 공간의 결절점에 위치하는 천왕문(혹은 금..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년9월25호
- 사찰경관의 시각구조적 특징
- 경관이라는 것이 일정한 시간과 특정한 장소에서 생성된 하나의 문화적 결과이고 사차원적 특성을 지니게 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전통적으로 계승되어온 경관구성기법을 파악하여 현재와 미래의 경관조작을 ..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년5월23호
- 사찰조경연구 ; 사찰의 외부공간 구성기법
- 우리나라 전통건축공간에 있어서 이 외부공간이 지니는 의미는 사실상 외부공간에 비해서 한층 더 높은 중요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기후가 외부생활을 용이하게 하여 사람들의 행태가 외부지..
홍광표/월간 환경과조경/1988년3월2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