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편집부' 검색 결과 581 건
- 도시생태학
- Urban Ecology의 주요목적은 혁신적인 대안을 개발하여 상호전달하고 이러한 대안이 모든 사람 그리고 모든 종류의 생물들에게 적용되어 생태학적인 지속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 키워드 : 친환경적 공간..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4월84호
- 중동신도시 상징조형물 수상작
- 중동신도시내 6개 근린공원에 세워질 상징조형물 6점이 확정돼 1995년 8월까지 설치, 완공될 예정이다. 이번에 확장된 6점의 상징조형믈은 부천시가 작품 공모를 통해 접수한 41점 가운데 뽑은 것으로, 공원별..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3월83호
- 제 5회 문예, 사진, 미술, 컴퓨터그래픽, 비디오 공모전 수상작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
- 산림문제 및 자연생태계 문제에 활발한 활동 _ 자연의 친구들
- 1971년 창립한 은 세계 52개국에 사무실을 갖고 있는 세계 최대 민간 환경조직의 하나로 환경을 보전하고 회복하며 자연을 올바르게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잇는 단체이다. 운동방향은 건전하고 정..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
- 학생작품전 수상자(한국) - 제6차 IFLA동부지역 대만대회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
- 국립 춘천박물관 현상설계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5년2월82호
- 건설입법 면허기준 완화
- ▶건설입법 면허기준 완화건설시장의 대외 개방을 앞두고 철저한 강화와 함께 그동안 3년 주기였던 신규 면허를 연1회 실시키로 했다. 이에 따라 특수면허(조경)의 신청이 대거 증가하면서 기존 43개사에 신규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2월80호
- 한강사광장 현상공모 수상작
-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10월78호
- 고양, 일산지구 중앙공원
- 일산신도시의 도심과 호수공원, 도시외곽의 자연녹지를 연결하는 정발산을 정적, 전통적 광간의 성격을 지니는 중앙공원으로 개발하여 도시경관에 입체성과 방향성을 부여하고 도시민에게 쾌적한 자연환경을 ..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미아리고개 가로공원조성 현상공모 수상작/김현선 환경디자인연구소
- 한 많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미아리 고개를 민족화합의 장으로 승화시키고 역사의 현장으로 재조명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 미아리고개의 입지조건상 협소한 공간과 매연, 소음 등 고객 정상부의 취약점을 고..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미아리고개 가로공원조성 현상공모 수상작/신화컨설팅
- 한 많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미아리고개가 갖는 장소성을 재조명하여 후세들에게 교훈의 장소로 제공,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맞아 민족 화합의 장으로 승화. 성북구의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 지역주민 및 통..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어느 곳에서도 화려한 색상의 지피화초/플라워 카펫트
- 장미는 비록 신이 꽃으로 출발하여 귀족사회의 상징처럼 숭앙을 받았으나 언제부터인가 우리 모두의 관심을 끌게 되었다. 따라서 장미의 육종은 반드시 그 어떤 자연조건이나 환경에서도 장미 본래의 아름다움..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용두리 주택정원
- 이 주택은 여느 정원과는 달리 숲을 가지고 있다. 잔디정원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펼쳐저 있는 이 숲은 메타세콰이어가 총총히 서있고 중간중간에는 석물등이 않혀져 있으며 옆으로는 소로가 나있어 마..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9월77호
- 제1회 호조련 조경작품전 우수작
-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출품자: 전북대학교(조대현, 최철호, 유나경, 김형숙)지도교수: 이명우
배경지속가능한 개발(ESSD :Environment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합의..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
- 「서울 1000년 타임캡슐광장」명소화 방안 현상공모 수상작
- 서울시는 지난 3월 ‘서울 1000년 타임캡슐광장’ 명소화 방안 현상공모를 실시했다. 이는 오늘날의 생활상 등을 나타낼 수 있는 문물을 타임캡슐에 내장하여 매설하였다가 400년 후에 개봉하므로써 서울정도 10..
편집부/월간 환경과조경/1994년8월7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