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영두' 검색 결과 54 건
- 이팝나무 참오동나무
- 이팝나무 _ 우리나라는 중부이남의 곳곳에서 자라고 있으며 특히 경남 북 및 전남 북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수직적으로는 50~1000m까지 자라며 어청도와 포항에 있는 대집단의 자생지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몇..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0월54호
- 위성류, 치자나무
- 위성류 _ 이 나무는 잎이 향나무나 편백 및 화백잎처럼 생겨 처음 보는 사람은 침엽수로 오인하기 쉬운 특이한 나무이며, 이는 마치 은행나무의 잎이 넓어 활엽수로 알기 쉬운 것과 같은 것으로 이 두 수종은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9월53호
- 아까시나무, 다정큼나무
- 아까시나무는 척박한 땅에서도 생장이 좋아 전국 곳곳에 만연되었던 황폐지의 산야에 사방조림용으로 많이 식재되어 왔다. 이 나무는 북미 원산으로 17세기 중엽에 처음 세상에 알려졌으며, 록키산맥의 동부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8월52호
- 개나리, 후피향나무, 사스레피나무
- 1. 개나리
과명 : 물푸레나무과
학명 : Forsythia Koreana Nakai
영명 : Golden Bell, Korean Forsythia
2. 후피향나무
과명 : 차나무과
학명 : Ternstroemia japonica Thunb.
영명 : Ternstroemia
3...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7월51호
- 복사나무, 팔손이
- 복사나무는 2,000여 년 전에 중국에서 들어와 주로 마을 주변에 식재되어지고 있다는 중국원산설과 이와는 달리 한반도와 제주도 완도 등지에 자생종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높이 5~6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6월50호
- 회양목, 비파나무
- - 회양목 우리나라에는 평북 및 함북을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되고 있으며, 주로 석회암지대에 자생하고 있는데 표고 200~700m사이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높이는 1~3m, 간혹 6~7m까지 자라는 상록활엽관목..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5월49호
- 회화나무 사철나무
- 회화나무 :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 아주 오래전에 들어와 각처의 산야나 집 안팎의 뜰과 사원 서원 또는 마을주변 등에 널리 식재되어 왔으므로 자생종처럼 보인다. 일본에서도 불교의 도입과 함께 들어가,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3월47호
- 단풍나무속
- 은단풍_높이 30~40m, 직경 1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수피는 암회색이나 어린나무는 적갈색이고 인편이 있으며, 가지가 비교적 길게 분지되어 큰 수관을 형성한다. 재질이 비교적 우수하여 가구재, 기..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2월46호
- 복자기나무, 신나무
- e-매거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년1월45호
- 담팔수, 풍나무
- 담팔수 _ 이 나무는 우리나라에는 몇 그루 안되는 극히 희귀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주도 서귀포 일대의 상록수림속에 상당수가 자라고 있으며, 최근에와서 조경수로 개발되면서 비교적 큰나무가 정원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1월44호
- 해당나무, 굴거리나무
- 굴거리나무_제주도, 울릉도 그리고 거제도 등 남해 도서지방과 전남, 경남의 해안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있으나 백운산과 전북 내장산에도 분포되고 있다. 잎은 호생하나 가지끝에 모여 총생상으로 달리며 다소..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9월43호
- 왕벚나무, 화살나무
- 왕벚나무 왕벚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각처에서 식재되고 있는 봄철 꽃나무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 꽃을 좋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원수, 가로수, 풍치수 등 조경수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높이 15m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7월42호
- 츄립나무, 명자나무
- 츄립나무 Tulip Tree 과명 _ 목련과 학명 _ Liriodendron tulipifera L. 영명 _ Yellow Poplar, Tulip Tree 한명 _ 백합목 츄립나무는 튜립나무라고 표기하는 사람도 있으며, 일명 백합목, 백합수라고도 하는..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5월41호
- 동백나무, 애기동백
- 동백나무는 크게 동백나무와 애개동백나무로 대별된다. 동백나무의 변품종이 많은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고 애기동백 나무의 변품종도 대단히 많다. 上原敬二는 애기동백나무를 동백나무와 같이 꽃잎의 수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3월40호
- 산수유, 석류나무
- 조경적으로는 관상가치가 대단히 높아 과거에는 약용수로서 집주위에 많이 식재했으나 최근에는 관상수로서 대단히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상가치로는 봄의 소식을 알려주는 전령으로서의 황금색 꽃..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년1월3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