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강전유' 검색 결과 51 건
6월의 조경수 관리
침엽수의 병충해 솔잎혹파리 솔잎혹파리는 1929년 우리나라의 전남 목포와 서울의 비원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전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0년 현재 전국과 금강산까지 피해가 확인되었다. 북..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6158
나무외과수술2
나무의 외과수술은 고사지와 쇠약지 제거, 부패부 제거, 살균처리, 살충처리, 방부처리, 방수처리, 동공충전, 매트처리, 인공수피와 수지 처리, 쇠조임 작업, 지주목 고정 순으로 진행된다. 생리적 피해, 기상..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891132
나무좀류, 바구미류
-소나무좀 소나무좀의 피해증상은 2가지가 있다. 첫째 수간을 가해하여 나무를 고사시키는 1차피해, 둘째 잘 자라는 신초를 가해하여 신초가 구부러지거나 부러져 적갈색으로 변하여 나무에 붙어 있는 2차피해..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145
소나무의 병충해와 방제2
소나무재선충은 1988년 10월 부산직할시에서 임업연구원 수목병리과로 소나무 고사원인을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 소나무재선충의 피해로 확인되므로써 우리나라에도 재선충이 침입되었다는 것이 판정되었다. 피..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1138
조경수목의 보호관리
소나무 엽진병_소나무의 잎떨림병이라고도 하는 소나무의 대표적인 병해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되고 있다. 피해를 받으면 바로 고사되는 것이 아니라 수세가 극도로 쇠약해지고 죽은 가지가 많이 생기며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246
조경수의 보호 관리 ; 포플러
포플러는 속성수로서 산림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목재를 빠른 시일 내에 생산하기 위하여 공한지 또는 강변 등에 많이 식재된다. 현재까지 발견된 해충으로는 1백 58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며 병해로는 9..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68100
버즘나무, 장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가로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으며 공원 정원의 주위 또는 길 경계지역에 심겨져 있다. 뿌리의 발근도 좋고 척박한 토양이나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도심지의 공해 피해에도 강하다. 그..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585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 쇠조임 설치의 필요성
쇠조임을 브레이스라고 하는데 이는 죄다, 묶다, 당기다, 버티다 라는 뜻으로 수목외과수술의 한 부분이며 수목의 생체보호에 중요한 작업이다. 수목의 부러짐, 갈라짐, 찢어짐, 늘어짐 들의 피해를 예방하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340
조경수의 효울적 보호관리
천연기념수, 지방기념수, 보호수, 노거수, 대형조경수 등 우리는 오랜 역사를 지닌 거목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들 거목은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면 조경수목으로도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한편 식물분류학,..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1139
조경수의 보호관리 ; 수목이식과 보호관리-
이식목은 가급적이면 이식전에 뿌리돌림을 한 후 1~2년 경과 후에 이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많은 양의 세근을 부착시켜 이식함으로써 활착이 좋기 때문이다. 분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활착율이 좋..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1191
2월의 조경수 관리
수목의 각종 피해는 생리적 피해, 생물학적 피해, 기상적 피해, 인위적 피해로 크게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다. 2월에는 주로 기상적 피해가 많으며 생물학적 피해는 크게 문제되는 것이 없으나 특수한 월동 병..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20012154
조경수의 보호관리 ; 약제에 의한 병충해 방제
농약 살포는 병해충의 효율적 방제를 위한 것이나 살포하는 자의 안전을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농약 살포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사용하고자 하는 농약을 선택하는 일이며 농약을 구입하면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5383
조경수의 보호관리 ; 생리적 피해
수목의 생리적 피해 규명과 치료방법은 수목의 생리작용을 이해함으로써 생리적 피해원인과 치료방법을 규명할 수 있고 효과적인 처리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수목을 다루는 기술자들은 반드시 수목 ..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610102
조경수의 효율적 보호관리
조경수는 기상적인 피해와 환경적 피해를 받기 쉬우며, 실제로 그러한 피해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수종에 따른 제 조건을 무시하고 조경수로서의 가치와 모양을 중시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조..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0535
조경수의 보호관리
일반적으로 조경에 있어 그 주위에 배나무 과수원 식재를 주의하여야 하며, 배나무 과수원을 만들고자 할 때는 그 주위에 대량 향나무 식재지를 고려하여 과수원을 조성하여야 한다.그러나 향나무녹병의 생활..
강전유/월간 환경과조경/1992549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

커뮤니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