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기사

필자명 '김영두' 검색 결과 54 건
무환자나무, 호랑가시나무, 감탕나무
무환자나무 제주도, 전라도, 경상도 등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부락근처나 사찰 등에 식재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일본(북해도를 제외한 전지역), 중국, 대만, 인도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3460
목련속
잎은 상록성이다 - 태산목 꽃은 하향하고 관목상이다 - 함박꽃나무 꽃은 상향하고 교목이다 - 일본목련 꽃잎은 백색 또는 담홍색이며 9~18매이다 - 별목련 꽃잎은 백색이며 6매이다 - 백목련 꽃잎은 백색이나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89730
팽나무, 무화과
e-매거진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1155
느티나무, 칠엽수, 아왜나무
느티나무 _ 느티나무는 우리나라 국민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나무중에 하나이다. 이 나무는 우리민족과 같이 이 땅에서 오랜 세월을 함께 살아오면서 많은 전설과 사연을 지닌 채 우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친..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89931
조경용수목
매실나무는 수고 6m, 직경 60Cm 정도까지 자라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수피는 회흑색으로 종열하며 소지는 녹색이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긴 점첨두원저(漸尖頭圓底)로서 길이 4~10Cm 정도..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0535
복자기나무, 신나무
e-매거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2145
부용, 가막살나무
부용 _ 부용의 변종으로 흰부용과 대만부용은 꽃색이 백색이며, 후자는 대만산이고 겹부용은 담홍색의 만첩화이다. 이 외에도 교배종이 많이 육성되어 있는데 꽃색이 적색인 것도 있고 대륜화로 개화기가 더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383
남천,배롱나무
배롱나무는 중국원산으로 우리나라에는 충남이남에서 주로 식재되고 있으며 서울과 경기도에서도 일부 월동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확실치 않으나 예부터 사원이나 촌락에 널리 식재되어 왔으며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01138
담팔수, 풍나무
담팔수 _ 이 나무는 우리나라에는 몇 그루 안되는 극히 희귀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제주도 서귀포 일대의 상록수림속에 상당수가 자라고 있으며, 최근에와서 조경수로 개발되면서 비교적 큰나무가 정원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11144
젓나무, 가문비나무
-젓나무 높이 40m, 직경 1.5m까지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인 고산성 수목이며, 수피는 잿빛이도는 암갈색으로 거칠다. 소지는 회갈색ㅇ며 털이 없으나 간혹 있는 것이 있으며 얕은 흠이 있다. 동아는 작은 난형..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1280
마가목, 장미속, 찔레나무류
마가목 _ 봄에 힘차게 돋아나는 새순은 생동감이 넘치고 馬牙木이란 이름도 힘차게 돋아나는 새순이 말의 강한 이빨과 같다하여 붙여진 것으로 이 나무는 언제나 싱그럽고 생기가 넘치는 좋은 관상수이다.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51191
측백나무, 비자나무
측백나무 우리나라에는 충북 단양, 대구시, 경북 영양 및 안동지역의 주로 석회암지대에서 회양목과 함께 자생하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200~600m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과거부터 묘지 주변에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1179
조경용 수목
곰솔, 수고 20m이상, 직경 1m이상 자라는 상록침엽교목으로 수피는 흑회색이고 구갑상으로 갈라진다. 잎은 이엽속생으로 길이 9~14cm이고 2~3년 숙존하며 동아는 회백색이며 소나무의 동아가 적갈색으로 두 수..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881126
작살나무, 종려
작살나무는 우리나라에 전국의 산록 및 계곡에 많이 자라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0-1,200m에 분포되어 있고 지리적으로는 일본, 대만,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이 나무는 가을에 자수정 알처럼 빛나는 ..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6597
조경용 수목 ; 소철, 나한송
소철은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노지재배가 가능하다. 그 외 남해도서지방과 남해안의 난대지역에서는 집안이나 양지쪽에서 월동이 되는 곳도 있으나 기타지역에서는 주로 온실이나 실내에서 분에 심어 겨울을 지..
김영두/월간 환경과조경/1994371
1 2 3 4

가장많이본뉴스최근주요뉴스

  • 전체
  • 환경과조경
  • 조경생태시공